약시 연결되는 어린이 사시, 8세 전 치료해야

약시 연결되는 어린이 사시, 8세 전 치료해야

입력 2015-08-23 17:46
수정 2015-08-23 19: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환자 절반 이상이 9세 이하 아동… 머리 기울여서 본다면 병원 찾기를

눈이 서로 다른 지점을 바라보는 ‘사시’는 소아에게 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국내 소아의 약 2%에게서 발생하고 있다. 영아 사시는 생후 4~5개월부터 수술할 수 있고 늦어도 2세 이전에 수술해야 효과적이지만,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 시력발달 장애로 약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사춘기 청소년은 외관상의 이유로 심리적으로 위축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3일 지난해 사시로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시 환자 가운데 10대(0~19세)가 84.9%를 차지했으며 특히 9세 이하의 어린이 환자가 절반을 넘었다.

사시가 나타나는 시기는 다양하나 영아 사시는 생후 6개월 이전에, 조절내사시는 18개월쯤에 나타나며 간헐외사시는 3~4세 전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조절내사시는 원시가 심해 눈이 안쪽으로 몰리는 사시이며 간헐외사시는 한쪽 눈 또는 양쪽 눈이 교대로 가끔 바깥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시력이 완성되기 전 사시가 나타나면 약시가 될 수 있다. 약시는 안경을 써도 시력이 정상으로 교정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약시 치료는 반드시 8세 전에 해야 한다. 또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사시는 초등학교 입학 전에 교정해 주는 것이 좋다.

사시 증상은 집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이의 한 눈이 코나 귀 쪽을 향해 있거나 초점이 풀려 보이고 햇빛이나 밝은 빛을 보고선 한 눈을 찡그리면 사시를 의심해야 한다.

사물을 볼 때 자꾸만 머리를 한쪽으로 돌리고 턱을 치켜들거나 반대로 고개를 숙이고 머리를 한쪽으로 갸우뚱하게 기울여도 마찬가지로 병원을 찾는 게 좋다. 소아 사시 환자는 자각 증상이 없어 보호자나 주변 사람이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성인에게서도 사시가 나타날 수 있다. 주로 뇌신경 마비에 의한 마비성 사시, 갑상선 질환이나 안와질환에 의한 외안근(눈을 움직이는 근육)의 이상, 근무력증과 같은 전신질환 등이 원인이다.

김혜영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교수는 “성인이 되어 새로 발생한 사시는 무엇보다 원인에 대한 감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8-2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