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입력 2015-10-18 18:10
수정 2015-10-18 2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이·어른, 심폐소생술도 달라요

위급한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은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친다. 심정지 상태가 오래갈수록 뇌 손상이 진행되기 때문에 쓰러진 사람을 발견했다면 누구든 먼저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한다. 아이는 뇌가 성장하는 중이어서 심정지 이후에도 의학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로 정상적인 상태까지 회복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렇게 양호한 예우를 보려면 심폐소생술을 될 수 있으면 빨리 시행해야 한다.

아이가 쓰러지면 우선 당황하지 말고 아이의 이름을 크게 부르면서 어깨를 흔들어 본다. 영아는 발바닥을 손가락으로 튕겨 자극을 줘 본다. 의식이 돌아오지 않거나 눈을 뜨지 않고 숨을 쉬지 않는다면 즉시 119에 연락하고 2분간 흉부압박을 시작한다. 만약 혼자 있는데 휴대전화나 유선 전화가 근처에 없다면 흉부압박부터 2분간 시행한 후 119에 연락한다. 반응이 없거나 헐떡이고, 숨을 쉬는지 잘 알 수 없는 경우도 심정지 상태로 간주한다.

1인 심폐소생술의 기본은 30회 흉부압박과 2회 인공호흡이다. 이 중 흉부압박이 중요하다. 흉부압박 부위는 양쪽 젖꼭지를 연결하는 선의 정중앙 바로 아래다. 1세 이하 영아는 두 번째, 세 번째 손가락을 모두 사용해 이곳을 압박하거나 양손으로 흉부를 감싸 쥐고서 엄지손가락으로 쥐어짜듯 압박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지 않은 학동기(6~11세) 이전 소아는 한 손바닥의 손꿈치를 이용해 압박한다. 학동기 아동은 양손의 손꿈치를 겹치고선 손가락 깍지를 끼고 압박한다. 압박 깊이는 1세는 4㎝, 소아는 5㎝다. 분당 100회 이상 속도로 압박한다. 단, 명치 부위 바로 위의 뼈(칼돌기)와 양옆의 갈비뼈 부위를 눌러선 안 된다. 이렇게 30회 압박 후 인공호흡 2회를 실시한다. 한 손으로 머리를 뒤로 젖히고, 다른 한 손으로 턱 끝을 살짝 들면 기도가 열린다. 1세 이하 영아는 머리가 상대적으로 크니 머리를 과도하게 젖히지 말고 턱만 살짝 들어준다. 이렇게 기도를 열고서 1세 이하 영아는 입과 코에 인공호흡을 하고 1세 이후 소아는 입에 인공호흡을 한다. 아이의 입에 인공호흡을 할 때는 코를 막고, 코에 인공호흡을 할 때는 입을 막고 한다. 영아는 구조자의 입으로 코와 입을 동시에 막고 숨을 불어넣을 수 있다. 인공호흡을 제대로 시행했다면 가슴이 올라온다. 인공호흡을 했는데도 가슴이 올라오지 않으면 머리 젖히기와 턱 들기가 제대로 됐는지 확인하고서 머리 자세를 다시 잡고 인공호흡을 한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소아응급의학과 류정민 교수

2015-10-19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