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대표 藥이야기] <3> 녹십자 ‘지씨플루’

[한국대표 藥이야기] <3> 녹십자 ‘지씨플루’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01-11 21:20
수정 2016-01-11 22: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감 백신 자주권 확보 집념, 1000억원 투자 화순에 공장, 국제기구에 亞 첫 입찰 자격

‘백신 자주권’.

이미지 확대
녹십자가 2009년 개발한 독감 백신 ‘지씨플루’.
녹십자가 2009년 개발한 독감 백신 ‘지씨플루’.
고 허영섭 녹십자 선대 회장이 밀어붙인 전남 화순 녹십자 백신 공장은 우리 ‘백신 안보’의 요새로 꼽힌다. 연간 5000만 도즈(1회 접종분)의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지씨플루’가 매년 이곳 화순 공장에서 생산된다. 2009년 이전에는 국산 백신이 없었다. 전량 수입에 의존했다는 얘기다.

허 회장은 2004년 독감 백신 국산화 민간사업자 선정 공모에 도전하면서 독자 건설을 밀어붙였다. 외국계 회사와의 합자 형태를 추진할 수도 있었다. 좀 더 쉽고 이득도 많이 남는 길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백신 자주권을 향한 허 회장의 집념은 남달랐다. 공장에는 국비를 포함해 약 1000억원이 투입됐다.

업계는 고개를 저었다. 백신은 수입해 들여와도 별 지장이 없는 소모품쯤으로 여겼다. 백신 수요가 안정적이지 않아 사업이 불투명하고 공장 유지 비용도 크다는 이유에서다. 녹십자의 무모한 집념이 빛을 발한 건 2009년, 멕시코에서 발견된 신종인플루엔자A(H1N1)가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가면서 부터다.

급박한 상황 속에 백신 수요가 치솟았다. 백신 공장이 없는 많은 국가들은 백신 고갈 공포에 시달렸다. 이들 국가는 다국적 제약사에 매달렸다. 하지만 수요를 채우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전 세계적인 전염병의 대유행이 한 국가의 백신 생산능력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된 셈이다. 당시 녹십자는 막대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수출길을 포기하고 생산 백신의 전량을 국내에 투입했다.

녹십자는 이제 해외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국제기구의 독감백신 입찰 자격도 확보했다. 아시아 최초다. 수출국은 중남미 30여개국. 세계 최대 백신 수요처 가운데 하나인 범미보건기구(PAHO)의 독감백신 점유율은 지난해 굴지의 다국적 제약사들을 제치고 녹십자가 1위를 차지했다. 수출 첫해인 2010년 녹십자의 수출은 약 60억원에 불과했다. 이 규모는 5년 만에 8배 넘게 성장했다. 지난해 녹십자의 독감 수출액은 약 500억원 규모.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01-12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