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농증 환자 9세 이하 가장 많아

축농증 환자 9세 이하 가장 많아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6-03-27 13:22
수정 2016-03-27 1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체 환자의 29.9%

축농증(부비동염) 환자 10명 가운데 3명은 9세 이하 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2014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전체 축농증 환자는 579만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9세 이하가 173만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의 29.9%를 차지했다. 전 연령대를 통틀어 9세 이하가 가장 많다.

9세 이하 아동이 축농증에 특히 취약한 이유는 성인보다 면역력이 약해 감기에 잘 걸리고, 감기로 코 점막이 조금만 부어도 가뜩이나 좁은 부비동 입구가 더 좁아져서다. 급성 축농증 대부분은 바이러스성 비염(코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한다.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감기와 알레르기 비염이 잘 발생해 축농증 환자도 많다. 건보공단이 2010∼2014년 축농증으로 병원을 찾은 평균 환자 수를 분석한 결과 환절기인 3~4월(봄)과 11~12월(겨울)에 진료환자가 많았고, 7~8월(여름)에 상대적으로 적었다.

축농증에 걸리면 코 막힘, 콧물 등의 증상 외에도 쑤시고 아픈 동통, 압통, 치통이 발생한다. 두통과 안구 통증도 발생할 수 있으며 전신증상으로 발열, 권태감 등이 함께 나타날 수도 있다. 소아 축농증은 감기와 같은 증상이 7일 이상 지속되며 점액 화농성 콧물이 나고 저녁에 기침이 심하다.

축농증을 치료하려면 증상이 없어지고 나서도 최소 3~7일간 항생제를 충분히 사용해야 한다. 약물치료로도 잘 낫지 않는 만성 축농증은 수술을 하기도 하는데, 소아와 아동은 코 안의 조직이 성장하고 있어 수술 시 조직 발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비수술 치료를 한다.

장정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콧물이 흐르고 코가 막힐 땐 생리식염수로 코를 씻고 건조하지 않도록 습도를 유지해야 한다”며 “외출 후 손을 잘 씻고 입안을 잘 헹궈내면 급성 축농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