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 1℃ 오를 때마다 급성심정지 1.3% 증가…오후 5시 최고

기온 1℃ 오를 때마다 급성심정지 1.3% 증가…오후 5시 최고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07-28 16:31
수정 2016-07-28 20: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일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기온이 1℃ 오를 때마다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1.3%씩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세일(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사진 왼쪽)·강시혁(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과 6개 광역시의 급성심정지 환자 5만 318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현재 기상청은 하루 최고 기온이 33℃ 이상인 날이 이틀 이상 지속할 것으로 예상하면 폭염 주의보를 발령하고 있다. 연구진에 따르면 여름철 최고 기온이 28℃인 날의 날의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가장 낮았으며 이후 최고 기온이 1℃씩 오를 때마다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1.3%씩 동반 상승했다.

 또 폭염이 아닐 때는 오전 9시를 전후해 급성심정지 발생이 많았지만, 폭염인 날에는 오후 5시쯤 환자가 많이 발생했다.

국내 급성심정지는 10만명 당 2006년 37.5명에서 2010년 46.8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의료진은 극심한 폭염 속에서는 탈수, 전해질 불균형, 신장 기능 이상, 자율신경계 불균형, 혈전 발생 등 여러 생리적인 불균형이 발생하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오 교수는 “특히 심혈관이 취약한 사람에게는 이런 변화가 급성심정지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체온이 올라가면 혈관도 확장해 심장에 무리를 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폭염 경보, 폭염 주의보가 발효되면 낮에 야외 활동을 삼가고 물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며 “날씨가 더울 때 몸에 심한 이상 신호를 느끼면 지체 없이 인근 병원을 방문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심장학저널’ 최근호에 실렸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