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검진율·사망률도 ‘불평등’…소득·학력 수준에 비례

암 검진율·사망률도 ‘불평등’…소득·학력 수준에 비례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4-24 09:32
수정 2018-04-24 09: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사연 보고서, 男 위암 검진율 최고 25%p, 간암 21%p 격차 “건강증진서비스, 필요한 집단에 집중 시행 필요”

건강불평등 문제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암 검진율과 사망률도 소득·교육 수준에 따라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의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분석한 결과 5대암(유방암·자궁경부암·위암·대장암·간암) 검진율은 소득·교육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높았다.

소득수준(상-중상-중-중하-하)별 검진율 격차가 뚜렷한 암은 위암이었다. 40세 이상의 검진율은 소득 ‘상’에서 65.3%로 가장 높았고, 소득 ‘하’에서 47.2%로 가장 낮아 18.1%포인트 차이가 났다. 특히 남자 검진율은 ‘상’(66.1%)과 ‘하’(41.1%)의 차이가 25.0%포인트에 달했다.

간암도 격차가 컸다. 소득 ‘상’(36.9%)과 ‘하’(22.4%)의 차이는 14.5%포인트였고, 남자의 검진율은 ‘상’(45.3%)과 ‘하’(24.7%)의 차이가 20.6%포인트로 나타났다.

교육수준별 검진율 격차가 눈에 띄는 암은 유방암으로, 40세 이상 인구에서 ‘전문대졸 이상’(69.5%)과 ‘초졸 이하’(56.3%)의 검진율 차이는 13.2%포인트였다.

대장암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에서 ‘고졸 이상’의 검진율(50.9%)은 높았으나, ‘초졸 이하’(37.5%)는 크게 떨어졌다.

암 사망률도 교육수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지난 2015년 30∼64세 암 사망률은 ‘초졸 이하 집단’에서 인구 10만 명당 185.1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중·고졸’에서는 73.3명, ‘전문대졸 이상’에서는 57.0명에 그쳤다. 이런 경향은 남녀 모두에서 나타났다.

보고서는 “건강불평등은 그 자체로서 불공평하고 모든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노력에 따라 피할 수 있거나 줄일 수 있다”면서 “국민의 건강 수준을 높이려면 건강불평등 해소가 전제돼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건강불평등을 모니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 좋은 생활습관을 갖도록 건강증진서비스는 강화돼야 한다”면서 “지위가 낮은 인구집단이 더 많은 서비스에 노출될 수 있도록 사업이 ‘비례적 보편주의’에 입각해 수행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