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혈압 환자 급증 주위보...남성 70대·여성 20대 많아

저혈압 환자 급증 주위보...남성 70대·여성 20대 많아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1-07-05 14:21
수정 2021-07-05 14: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건강보험공단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연합뉴스 자료사진
저혈압 환자가 해마다 10% 가까이 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저혈압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가 2019년 3만 6024명으로, 2015년(2만 4946명) 이후 1만 1078명 늘었다고 5일 밝혔다. 연평균 증가율은 9.6%였다. 저혈압 환자는 1년 중 가장 더운 여름인 7∼8월에 가장 많이 병원을 찾았다. 건보공단은 더운 날씨로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탈수로 일시적인 저혈압이 생길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저혈압 환자 추이를 성별로 나눠보면 2019년 남성 저혈압 환자는 1만 6430명으로 2015년(1만 153명)보다 48.6% 늘었고 여성은 1만 9594명으로 2015년(1만 3893명)보다 41%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전체 진료 인원 중 70대가 19.6%로 가장 많았고 60대(16.5%), 80대(14.2%) 등이 뒤를 이었다.

남녀 간 차이도 존재했다. 남성은 70대(26.9%), 60대(20.5%), 80대(16.0%) 순으로 60대 이상에서 주로 발생했다. 이에 비해 여성에서는 20대(15.3%), 10대(15.0%), 70대(13.5%) 등으로 어린 연령층 중 저혈압 진료 환자가 많았다. 오성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고령 남성은 저혈압을 유발하는 자율신경계 또는 심혈관계 질환 유병률이 높고 혈압을 낮출 수 있는 여러 가지 약을 먹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젊은 여성은 흔히 다이어트로 인한 체중 감소와 월경 관련 철 결핍성 빈혈 등이 높다”고 분석했다.

환자 증가에 따른 건강보험 총진료비는 2019년 95억원으로 2015년(48억원)보다 98.6% 올랐다. 1인당 진료비는 2019년 26만 6000원으로 2015년(19만 3000원) 대비 37.6% 증가했다. 오 교수는 “치료가 필요한 원인 질환을 동반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의 저혈압은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 체중 조절, 금연 및 절주 같은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다”면서 “다만 기저질환으로 인한 저혈압은 반드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