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가에 부는 ‘주4일제’ 바람…서울대병원도 노사 협상

병원가에 부는 ‘주4일제’ 바람…서울대병원도 노사 협상

박민식 기자
입력 2025-06-18 17:17
수정 2025-06-18 17: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중앙의료원 6월부터 시범사업
2023년 도입 세브란스는 긍정 성과
임금 감소·병원 인건비 부담 증가는 부담

이미지 확대
최근 주요 병원들에서 주 4일제 도입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뉴스1
최근 주요 병원들에서 주 4일제 도입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뉴스1


이재명 대통령이 장기 과제로 ‘주 4일제’를 언급한 가운데, 병원 현장에서도 주 4일제 도입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과중한 업무 강도로 악명 높은 의료계에도 이 제도가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은 오는 25일 시작되는 임금·단체협상(임단협)에서 주 4일제 도입을 핵심 요구안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우선 간호사 등 3교대 근무자부터 주 4일제를 적용하고, 점차 대상을 확대하자는 취지다.

서울대병원 노조는 3년 전부터 주 4일제 도입을 요구해 왔지만, 병원 측은 인력 운용과 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난색을 보여왔다. 그러나 노조는 올해는 분위기가 다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기류 변화를 이끄는 건 국립중앙의료원의 행보다. 공공의료의 중심축인 이 병원은 이달부터 간호사 300여 명을 대상으로 주 4일제 시범사업에 들어갔다. 한 병동 5명으로 시작해, 3개월 단위로 대상자를 점차 확대하는 방식이다.

세브란스병원은 이미 2023년 국내 최초로 주 4일제 시범사업을 도입해 안착시켰다. 시행 이후 퇴사율은 3.6~8.8%포인트 줄었고, 직원들의 건강 지표도 개선됐다. 세브란스병원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기존 신촌·강남 병원 외에도 용인세브란스병원까지 확대 적용을 요구할 방침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 산하 주요 병원 지부들도 올해 임단협에서 주 4일제를 핵심 요구안으로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학병원 노조 관계자는 “사회 전반에 주 4일제 전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며 “올해는 우리 요구에 힘이 좀 더 실릴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다만 주 4일제의 현실화에는 넘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가장 큰 쟁점은 임금이다. 실제 시범사업을 시행 중인 세브란스병원과 국립중앙의료원에서는 직원들이 기존 급여의 약 90%를 받고 있다. 반면 서울대병원 노조는 임금 삭감 없는 제도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장은 “근무 일수가 주 5일에서 4일로 줄면 산술적으로는 임금도 80%로 낮아지는 게 맞지만, 직원들은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결국 관건은 인건비 부담을 어떻게 풀 것인가”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