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가혹행위에 정신분열·우울증…”국가유공자 인정”

軍 가혹행위에 정신분열·우울증…”국가유공자 인정”

입력 2014-08-26 00:00
수정 2014-08-26 0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군대 선임병들의 가혹행위로 정신질환을 얻은 이들이 법정 다툼을 벌인 끝에 법원에서 잇따라 국가유공자로 인정받았다.

26일 대한법률구조공단에 따르면 A씨는 2009년 4월 동부전선 최전방에 위치한 강원도의 한 포병부대 훈련소에 입소했다.

훈련소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던 A씨는 군의관에게 상담을 요청했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입소 두달만에 자대로 배치됐고 곧 선임병들의 타깃이 됐다.

A씨는 내무반 바로 옆자리에서 생활하던 조모 상병이 코를 골거나 조금 움직인다는 이유로 욕설을 퍼붓거나 발로 차는 바람에 제대로 잠을 잘 수 없었다.

같은 부대의 한모 병장은 갑자기 A씨의 바지를 내리거나 뒤에서 끌어안으며 신체 부위를 만지는 식으로 성추행했다.

자대배치 두달여 만에 A씨는 갑자기 소리를 지르고 난폭한 행위를 하는 조울증 증상을 나타냈다.

A씨는 군 병원에 입원해서도 “나는 4차원보다 고차원이다”, “맨유로 가야하는데 감정조절을 못해 병원에 왔다. 연봉 1천800억원을 받는다”고 소리치는 등 망상 증세를 보이다가 2009년 11월 의병전역됐다.

이후 A씨 측은 국가유공자로 등록해달라고 광주지방보훈청에 신청했지만 “공무수행과 인과관계가 없다”는 이유로 거절됐다.

한편 2009년 8월 육군에 입대한 B씨의 군 생활도 악몽이었다.

통신병인 B씨는 작업일지를 일부러 찢어버리거나 볼펜으로 몸을 찌르고 때리는 등 선임들의 골탕먹이기를 견디다 못해 폭력을 휘두르고 영창 신세를 지기도 했다.

이후 B씨는 관심병사로 분류돼 ‘그린캠프’에도 다녀왔지만 부대 안에서 아무도 그를 보듬어 주지 않았다.

B씨에게도 곧 정신이상 증세가 나타났다. 밤새 다른 부대원이 자는 모습을 눈뜨고 지켜보는가 하면 복도에서 몇 시간씩 가만히 서 있기도 했다. 환청 때문에 혼자서 욕설을 내뱉고 화를 내는 일도 잦았다.

B씨도 전역 후 편집성 정신분열증을 이유로 창원보훈지청에 유공자 신청을 했지만 이 역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법률구조공단은 A씨와 B씨의 요청으로 각각 소송구제 절차에 착수했다.

2년에 걸친 소송 끝에 광주고법 행정1부는 A씨를 유공자로 인정하라고 선고했다. 이 판결은 최근 확정됐다.

B씨의 재판을 맡은 부산고법 창원재판부 행정1부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 창원보훈지청은 판결에 불복해 상고했지만 대법원은 B씨의 손을 들어줬다.

법률구조공단 관계자는 “공무수행 중 발병한 정신질환으로 유공자 신청을 해도 보훈청은 소극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결국 재판까지 가야 한다”며 “앞으로 공단은 이같은 어려움을 겪는 피해자들을 발굴해 적극 소송지원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