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떨어지던 구속영장 기각률 20.14%로 반등… 왜

5년간 떨어지던 구속영장 기각률 20.14%로 반등… 왜

입력 2015-02-03 00:00
수정 2015-02-03 03: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檢 “기각률 관리?” 法 “공판주의 정착”

하락세였던 법원의 구속영장 기각률이 지난해 비교적 큰 폭으로 반등했다. 2005년 9월 이용훈 전 대법원장 취임 뒤 법정 증거·진술을 중시하는 ‘공판중심주의’가 강조되면서 구속영장 기각률은 2009년 정점(25.04%)을 찍은 이후 불구속 수사 확대로 점차 낮아지던 추세라 법조계에선 의외라는 반응이 나온다.

2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구속영장 기각률은 20.14%로 집계됐다. 3만 6176건이 청구돼 7285건이 기각됐다. 전년도(17.89%)에 견줘 2.25%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2013년과 2014년의 체포영장 및 압수수색영장 기각률 역시 각각 1.30%에서 1.34%, 0.84%에서 0.88%로 약간 올랐다.

2005년 13.20%에 불과했던 구속영장 기각률은 2006년 16.54%, 2007년 21.88%, 2008년 24.21%로 쑥쑥 높아져 2009년 25.04%로 최고치를 찍었다. 하지만 이후 불구속 수사 분위기가 번지며 검찰이 영장 청구 요건을 강화해 청구 건수 자체를 줄이면서 2010년 24.03%, 2011년 23.48%, 2012년 20.65%로 낮아졌다. 실제 2000년 12만 1629건에 달했던 검찰의 영장 청구 건수는 2005년 7만 3800건, 2010년 4만 3574건으로 줄었다.

재경 지검의 한 검사는 “달라진 요건에 맞게 영장을 청구하고 있어 기각률이 낮아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다시 20%대로 높아진 것을 보면 법원이 기각률을 관리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검사 출신의 한 변호사는 “영장 발부는 담당 판사 외에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일본·미국 등과 같이 영장심사도 3심제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반면 재경 지법의 한 판사는 “2~3% 포인트 차이에 큰 의미를 둘 순 없다”면서도 “검찰이 정부 방향에 맞춰 이벤트성으로 공무집행방해 사범 등에 대한 구속수사를 확대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른 판사도 “검사의 입증 책임을 엄격하게 요구해 나타난 현상 같다”고 분석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02-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