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의 선거 개입· 방송 장악·사법 방해 의혹 사건 등을 수사 중인 검찰이 지난 23일 김병찬 서울 용산경찰서장의 사무실을 압수수색한데 이어 김 서장에게 오는 25일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 수사관들이 23일 서울 용산구 용산경찰서에서 김병찬 용산경찰서장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뒤 압수품을 들고 나오고 있다. 2017.11.23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 수사관들이 23일 서울 용산구 용산경찰서에서 김병찬 용산경찰서장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뒤 압수품을 들고 나오고 있다. 2017.11.23 연합뉴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팀장 박찬호 2차장)은 김 서장에게 오는 25일 오전 11시에 검찰청사로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고 24일 밝혔다. 김 서장은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할 예정이다.
김 서장은 2012년 서울 수서경찰서의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가 진행됐던 당시 수서서의 상급기관인 서울경찰청의 수사2계장을 지냈다. 당시 김 서장은 국정원 요원 오피스텔에서 대치 상황이 벌어진 2012년 12월 11일 당시 서울경찰청을 맡고 있던 국정원 연락관과 40여 차례의 전화 통화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은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됐다.
또 경찰의 중간수사 결과 발표 이후에도 ‘국가 안보’ 등을 이유로 수서경찰서에 국정원 직원의 노트북 등 관련 자료를 대선 당일까지 돌려주지 않는 등 수사를 방해한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제18대 대선을 3일 앞둔 2012년 12월 16일 밤 11시에 이광석 수서경찰서장(현 대구경찰청 제2부장)은 국정원 요원의 노트북에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를 비방하거나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를 지지하는 댓글 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다고 ‘기습 발표’했다.
당시 수서경찰서 수사과장을 지냈던 권은희 국민의당 의원은 국정원 요원으로부터 노트북을 ‘임의 제출’ 방식로 받은 서울경찰청이 수서경찰서 수사팀에 협조하지 않았다고 법정에서 증언하며 김 서장의 실명을 거론한 적이 있다.
검찰은 최근 국정원의 ‘사법 방해’ 의혹을 수사하던 중 김 서장을 포함한 경찰 관계자들이 수사 대상이 된 국정원 측에 수사 상황을 부적절하게 제공한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전날 김 서장의 자택과 사무실을 압수수색하면서 영장에 공무비밀누설 혐의를 적용했다고 한다.
이렇게 검찰이 경찰에 대한 강제수사에 돌입하면서 당시 수사 지휘선상에 있었던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수사도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김 전 서울경찰청장 외에도 최현락 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 장병덕 전 서울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장(현 경북 군위경찰서장), 이병하 전 서울경찰청 수사과장, 이광석 전 수서경찰서장에 대한 수사도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