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스 350억은 MB ‘정치 밑천’…영포빌딩은 불법자금 ‘저수지’

다스 350억은 MB ‘정치 밑천’…영포빌딩은 불법자금 ‘저수지’

입력 2018-03-20 10:38
수정 2018-03-20 1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검찰 “경리직원 120억원 횡령, MB가 ‘조용히 정리’ 지시”

선거 때 다스 직원들 ‘배후조직’처럼 동원
이미지 확대
[MB소환] 피곤한 기색의 MB
[MB소환] 피곤한 기색의 MB 검찰 조사를 마친 이명박 전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나와 귀가하고 있다. 2018.3.15연합뉴스
다스에서 조성된 350억원대 횡령 의심 자금 중 상당액이 국회의원·서울시장·대통령 선거 비용 등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치 밑천’처럼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사정 당국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은 이 전 대통령이 처남인 고(故) 김재정씨의 도움을 받아 다스를 비밀리에 소유·운영하면서 1994년 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하도급 업체에 허위 일감을 주는 등의 방식으로 비자금 339억원을 조성해 쓴 것으로 구속영장에 적시했다.

여기에 이 전 대통령 내외가 쓴 것으로 조사된 다스 법인카드 자금 4억여원, 다스가 부담한 이 전 대통령 측 선거운동 자금까지 더하면 이 전 대통령이 다스에서 횡령한 것으로 검찰이 의심하는 자금 규모는 350억원대에 달한다.

다수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세탁된 자금 중 상당액은 김희중 전 청와대 제1부속실장 등에게 건너가 이 전 대통령의 국회의원, 서울시장, 대선 후보 시절 활동비로 쓰인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검찰은 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에 국회의원·서울시장·대통령 등 선거 비용, 우호적인 언론인 등 영향력 있는 인사들에게 청탁하는 명목으로 전달할 소위 ‘촌지’ 비용 등으로 사용됐다고 적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피의자가 소속된 정당의 동료 국회의원들에게 전달할 후원금, 사조직 운영비, 개인 활동 경비, 세금 등 차명재산 관리·유지비, 사저 관리비용 등으로 사용했다”고 비자금 용처를 상세하게 적시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이 전 대통령이 소유하다가 청계재단으로 소유권을 넘긴 서초동 영포빌딩이 ‘불법 자금을 세탁해 보관하다가 사적 비용으로 사용하는 저수지’로 사용됐다고 규정했다.

이 전 대통령은 영포빌딩 지하 2층 사무실에 내려와 대형 금고에 보관된 수백억원대 불법 자금의 관리 상황을 직접 챙겨보기도 했다고 검찰은 결론 내렸다. 이 전 대통령의 재산관리를 맡은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 등의 진술이 근거가 됐다.

이 전 대통령을 다스의 설립과 운영을 주도한 실질적인 ‘1인 소유주’로 결론지은 검찰은 2008년 정호영 특별검사팀의 수사로 다스 경리직원 조모씨가 120억원을 횡령한 사실이 드러나자 이를 덮으라고 지시한 것도 이 전 대통령으로 파악했다.

조씨가 빼돌린 돈 120억원을 다스에 돌려주자 이 전 대통령은 ‘돈을 외부에 드러나지 않게 조용히 회사에 유입시키라’고 조카 이동형씨에게 지시한 것으로 조사됐다. 120억원 때문에 회사의 자금 흐름을 수사당국이 다시 살펴보면 본인이 다스의 실소유주라는 단서가 노출될 우려가 있는 만큼 들키지 않게 처리하라는 취지였던 것으로 검찰은 받아들였다.

비자금 외에도 다스 회사 조직이 이 전 대통령의 정치 행보를 돕는 배후 조직 역할을 한 정황도 검찰 수사 결과 새롭게 드러났다.

일례로 이 전 대통령은 1996년 국회의원 선거 때 다스 직원 정모씨에게 선거캠프 경리 업무를 보게 했고, 여론조사 비용도 다스가 내게 한 것으로 검찰은 파악했다. 이와 관련해 이 전 대통령은 당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았으나 큰형인 이상은 다스 회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고 자신은 다스 측의 도움을 받은 사실을 몰랐다는 취지로 해명해 일부 무죄를 선고받기도 했다.

이 밖에도 이 전 대통령은 1991∼2000년 선거캠프에 고용된 옛 현대건설 관계자 7명의 급여 4억3천여만원을 다스가 부담하게 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은 검찰의 이 같은 수사 결과가 사실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이 전 대통령은 지난 14일 검찰 소환 조사에서 다스는 큰형인 이상은씨 등 장부에 나온 주주들의 것으로, 현대건설 최고경영자 출신인 자신이 경영 자문에 응한 적이 있다는 취지로 답변한 바 있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