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억 클럽’ 박영수 40일 만에 재소환…혐의 입증 쉽지 않을듯

‘50억 클럽’ 박영수 40일 만에 재소환…혐의 입증 쉽지 않을듯

입력 2022-01-05 17:42
수정 2022-01-05 17: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영수 전 특검 두번째 소환조사

이미지 확대
박영수 전 특별검사. 연합뉴스
박영수 전 특별검사.
연합뉴스
검찰이 박영수 전 특별검사를 5일 재소환해 대장동 민간 개발업자에게 50억원을 받기로 했다는 이른바 ‘50억 클럽’ 의혹을 집중적으로 캐물었다. 지난해 11월 26일 첫 소환 이후 40일 만이다.

대장동 개발 특혜·로비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4차장)은 박 전 특검이 대장동 민간 개발업자에게 법률 자문을 해 준 대가로 50억원을 받기로 약속했다고 보고 있다. 대장동 사업이 본격적으로 논의되던 2015년쯤 민간사업자와 법조인이 포함된 회의에 본인이 참석했거나 후배 변호사를 보내는 방식으로 도움을 줬다는 것이다.

박 전 특검은 대장동 민간개발사인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의 상임고문을 맡으며 연간 2억원의 고문료를 받았고 딸도 이 회사에서 근무했다. 또한 딸은 대장동 아파트를 주변 시세보다 저렴하게 분양받기도 했다.

천화동인 5호 소유주인 정영학 회계사가 검찰에 제출한 녹취록에도 민간 개발업자가 박 전 특검 측에 50억원을 어떻게 건넬 것인지에 대해 의논하는 취지의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박 전 특검과 관련해 검찰이 조사한 인물들은 일관되게 박 전 특검이 대장동 설계 관련 회의에 관여한 것이 없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진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2013~2016년 몸담았던 모 법무법인 출신 변호사를 최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검찰은 이날 조사를 바탕으로 박 전 특검을 재판에 넘길지를 검토할 예정이다. 하지만 박 전 특검 역시 50억원을 약속받았다는 혐의를 완강히 부인하고 있어 실제 기소가 이루어질지는 미지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