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적으로 신체 일부를 움찔거리거나 특이 소리를 내뱉는 질환인 ‘틱장애’로 진료를 받은 남성이 여성의 3~4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국민건강보험공단은 틱장애 진료 인원이 2007년 1만3275명에서 지난해 1만6072명으로 21%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건강보험 진료비는 33억9115만원에서 62억9404만원으로 86% 늘어났다. 남성 환자는 1만341명~1만2522명으로 여성 환자 2895명~3055명의 3.5~3.7배 수준이었다. 지난해 연령대별로는 10대가 전체의 48%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9세 이하 36%, 20대 8%, 30대 4%로 집계됐다.
해당 연령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9세 이하 124명, 10대 121명, 20대 19명 순이었다. 취학 연령대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초등학생인 만 7~12세 환자수가 7277명으로 전체의 45%에 해당했다. 이 가운데 남학생이 5757명(79%)으로 여학생 1520명(21%)의 4배에 육박했다.
틱장애는 환자 성비가 4대 1에서 6대 1 정도로 남자에서 많이 발생하지만 후기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에 대부분 증상이 사라진다고 건보공단은 설명했다.
이 질환은 중추신경계 발달과정에서 유전 요인과 환경이 상호작용, 뇌의 특정 부위에 변화를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은 ‘운동 틱’과 ‘음성 틱’으로 나뉘는데 전자는 눈 깜빡임, 목 경련, 얼굴 찌푸림, 어깨 으쓱임, 발 구르기, 뛰기 등의 증상이 있으며 후자는 헛기침, 킁킁거리기, 강아지처럼 짖는 소리내기, 일정 어구(語句) 반복, 따라 말하기 등으로 나타난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