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물리학상에 힉스·앙글레르…반세기만에 영예

노벨물리학상에 힉스·앙글레르…반세기만에 영예

입력 2013-10-09 00:00
수정 2013-10-0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극적 존재 확인’힉스 입자’ 명명은 故이휘소 박사 발표 1시간 늦어져’이론적 엄밀성 시기상조’ 지적도

우주 탄생의 열쇠인 ‘힉스 입자’의 존재를 49년 전 예견한 팔순의 물리학자 2명이 극적으로 노벨 물리학상의 영예를 안았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8일(현지시간) 힉스 입자의 존재를 1964년 각각 예견한 공로를 인정, 벨기에의 프랑수아 앙글레르(80) 브뤼셀 자유대 명예교수와 영국의 피터 힉스(84) 에든버러대 명예교수를 물리학상 수상자로 발표했다.

’신의 입자’로 잘 알려진 힉스 입자는 수십 년 동안 가설로 취급되다가 올해 초에야 공식적으로 존재가 확인돼 두 사람은 즉각 과학계의 스타로 부상했다.

공식 발표 전까지 1순위로 꼽힐 정도로 그들의 수상은 이미 예견됐다.

미국 뉴욕타임스(NYT)의 경우 수상자 발표 하루 전인 7일 기사에서 “스웨덴 왕립과학원이 미치지 않는 이상 최근 10년을 대표할 이 ‘락스타적 쾌거’(rockstar event)를 인정할 것으로 보는 이들이 많다”고 전했다.

힉스 입자는 137억 년 전 우주가 태어난 순간인 ‘빅뱅(대폭발)’ 때 모든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고 사라진 존재로 ‘삼라만상의 근원’으로 흔히 불린다.

힉스 입자는 자연현상에서 관찰할 수 없고 실험으로도 측정이 극도로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리언 레더먼은 저서에서 힉스 입자를 ‘빌어먹을(Goddamn) 입자’로 불렀다가 출판사의 권유로 ‘신의(God) 입자’로 정정했고, 이 말은 애칭으로 굳어졌다.

국제 연구진은 100억 달러(10조7천400억원)를 들여 스위스·프랑스 국경 지대에 길이 27㎞의 거대 강입자가속기(LHC)를 구축하고 입자를 인공적으로 충돌시키는 ‘초미니 빅뱅’ 실험을 거듭, 올해 3월 힉스 입자의 존재를 입증했다.

학계는 힉스 입자의 입증이 과거 전자와 원자핵의 발견에 필적하는 성과라며 자연현상에 대한 인류의 이해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힉스 교수는 수상자로 확정된 뒤 “이번에 기초 과학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비현실적인 연구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올라가기를 바란다”는 뜻을 밝혔다고 AP통신이 전했다.

힉스 입자 연구는 16개 입자로 우주의 탄생 과정을 규명하는 이론인 ‘표준 모델’(Standard Model)의 토대를 제공했으나 동시에 학문적 가치에 대한 논란도 많았다.

힉스 입자가 성립시킨 표준 모델이 최근 연구에서 일부 반론이 제기되는 등 엄밀성이 부족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은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있기 때문이다.

노벨위원회도 “힉스 입자의 발견이 훌륭한 성취이기는 하지만 표준 모델이 우주비밀에 관한 퍼즐을 푸는 마지막 조각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런 논란을 의식한 듯 이날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이례적으로 예정 시간을 1시간 이상 넘기고 나서야 수상자를 발표, ‘막바지 격론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 위원회는 발표 지연에 대해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

힉스 입자 연구는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애초 학계에 힉스 입자라는 명칭을 제안한 사람은 유명 재미 물리학자인 고(故) 이휘소 박사였다. 힉스 입자 발견과 관련된 여러 논문에는 박인규 서울시립대 교수와 최수용 고려대 교수 등 한국인 학자 20여명이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