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센 바람과 함께 쏟아지는 빗줄기를 막기 위해 우산을 이리저리 돌려 보지만 속절없이 옷이 흠뻑 젖어 버린다. ‘비바람 방향에 맞춰 움직이는 우산이 있다면…’이라는 생각을 해 봤다면 이 디자인을 주목해도 좋겠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울산과기원, 국제디자인賞 수상
울산과학기술원(UNIST)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정연우 교수팀은 비바람의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우산 머리 부분이 구부러지는 ‘고개 숙이는 우산’(틸팅 엄브렐러)을 개발했다. 이 우산은 지난달 30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2016 스파크 국제 디자인 어워드’에서 디자인 콘셉트 파이널리스트를 수상했다. 스파크 국제 디자인 어워드는 독일 레드닷과 iF, 미국 IDEA와 함께 세계적인 국제 디자인 공모전으로 꼽힌다.
●원하는 방향 조절해 고정도 가능
정 교수팀은 우산대 손잡이 윗부분에 무릎 관절과 비슷한 모양의 둥근 조인트를 넣어 우산 윗부분이 움직이도록 했다. 오른쪽에서 비바람이 불면 우산에 닿는 비의 하중이 오른쪽으로 쏠리면서 우산이 기울어지는 원리다. 또 조이스틱처럼 손잡이를 조절해 사용자가 우산의 방향을 바꾼 뒤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연구진은 5일 “이번에 개발한 우산은 인지하지 못하는 비의 방향을 우산 스스로 대응하도록 했다”면서 “어린이나 노인들이 더욱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 교수팀은 보트의 프로펠러가 비행기처럼 물 바깥으로 나와 있는 ‘시캣’(Sea Cat)이라는 2인승 수상보트도 출품해 입선작에 선정됐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6-07-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