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서울대 교수팀, LARS1 효소의 대사조절 스위치 On-Off 기능 규명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나 낮과 밤의 기온차가 클 때는 건강관리가 쉽지 않다. 이럴 때 사람들은 평소 먹지 못했던 음식을 먹는다든지 건강보조식품이나 영양제를 챙겨먹는 경우도 많다. 이런 노력과 건강상 별다른 이유가 없음에도 쉬이 피곤해지거나 기운을 차리기 쉽지 않을 경우가 있다. 원인이 뭘까. 이럴 때는 인체 내 대사조절 스위치를 의심해봐야 할 것 같다.
픽사베이 제공
피로
피로감을 쉽게 느끼고 질병에 자주 걸리는 것은 LARS1 스위치에 이상이 생겼기 때문일 수 있다.
픽사베이 제공
픽사베이 제공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제공
우리 몸의 에너지 대사 과정과 LARS1
LARS1은 우리 몸에서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스위치로 작용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제공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제공
연구팀은 2012년 LARS1이 세포내 아미노산 중 하나인 ‘류신’을 감지해 단백질 합성과정을 활성화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 주목받은 바 있다. 연구팀은 류신이 LARS1 스위치를 켠다는 것을 밝혀낸데 이어 이번에는 LARS1 스위치가 꺼지는 이유를 규명했다.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제공
LARS1 효소의 역할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제공
LARS1를 타겟으로 한 암, 근무력증, 뇌전증 치료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이번 연구결과에 따라 당뇨, 비만 같은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제공
LARS1 효소와 질병 치료제 개발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제공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