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돋보기] 이승준 길들이기, 최선입니까

[스포츠 돋보기] 이승준 길들이기, 최선입니까

입력 2011-03-08 00:00
수정 2011-03-08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프로농구 최고의 별 가운데 하나인 이승준(33·삼성)이 가슴앓이를 하고 있다. 지난 5일 KT전에 단 1초도 코트를 밟지 못했다. 몸 상태는 괜찮았다. 결장은 ‘자체 징계’였다. 이승준이 3일 모비스전에서 보여준 행동 때문. 삼성은 “이승준이 3일 경기에서 좋지 않은 말을 했다. 반성할 때까지 경기에 출전 시키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삼성은 3일 졸전 끝에 모비스에 졌다. 이승준은 35분 24초를 뛰며 9점 10리바운드 4어시스트를 기록했다. 턴오버 4개를 쏟아냈다. 이승준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선수들은 원활한 로테이션 없이 제자리에 서 있었다. 플레이오프(PO) 진출은 확정적이었고, 상대는 약체(?) 모비스였다. 뛰고자 하는 의욕 자체가 안 보였다. 무기력했다. 이승준은 국내 선수들의 느슨한 플레이에 불만을 드러냈다. 충분히 잘할 수 있는데 안 뛰는 답답함에서 나온 하소연이었지만 서툰 한국말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반항, 항명으로 간주됐다. 문화와 언어의 차이는 고려대상이 아니었다.

지난 1월, 주장 이규섭은 부상이 없었음에도 결장했다. 이유를 묻자 안 감독은 “한 게임 못 뛰었을 뿐이다. 그걸 포인트로 몰지 마라.”고 예민하게 반응하며 “코트에서는 냉정해야 한다. 선수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면 더 큰 선수가 되고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라고 감쌌다.

그러나 이번엔 달랐다. ‘이승준 항명사건’은 미디어를 통해 까발려졌다. 삼성은 태도를 운운하며 언론을 이용해 선수를 몰아붙였다. 이례적이다. 남은 경기에서 승수를 쌓는 것보다 PO를 앞두고 분위기를 잡는 게 더 중요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올 시즌 삼성은 ‘도깨비팀’이었다. 강팀을 상대로 ‘명가’의 위용을 보여주다가도 약팀에 맥없이 무너지기 일쑤였다. 선수단을 장악하지 못한 게 원인이다. ‘이 트리오’ 이규섭·이승준·이정석이 국가대표에 차출되고도 1라운드 선두(7승 2패)를 달렸던 삼성이다. 그러나 이들이 복귀하면서 비시즌간 손발을 맞춰온 기존 선수들과의 잡음이 불거졌다. 출장시간과 팀 내 비중을 두고 선수단에 마찰이 있었던 건 공공연히 알려진 사실이다.

이승준에게 유독 가혹한 건지, 이승준이 타깃이 된 건지는 모르겠다. 어쨌든 이번 사건은 언론의 뭇매를 맞은 이승준의 반성과 사과로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삼성 역시 ‘에이스 길들이기’, ‘책임 전가하기’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묻고 싶다. 이런 식의 길들이기가 과연 최선일까.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1-03-08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