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들끓는 이적설 진실은
2011년 6월. 태극전사들은 어느 때보다 뜨거운 여름을 보내고 있다. ‘설설’ 끓는 이적설 때문이다.태극마크를 내려놨지만 여전히 한국을 대표하는 박지성(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뉴 캡틴’ 박주영(AS모나코), ‘조광래호’의 새로운 심장인 기성용(셀틱), 그리고 ‘최신형 스트라이커’ 지동원(전남)이 모두 이적설에 휩싸였다. 이쯤에서 수많은 이적설의 배경과 근거, 그리고 실현 가능성을 냉철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또 하나 기억해야 할 것은 변화무쌍한 유럽 프로축구 이적시장에서 변치 않는 대원칙이다. ‘유니폼 들고 사진 찍을 때까지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AT마드리드), 세비야 등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진출설이 수면 위로 떠오른 박지성의 실제 이적 가능성은 낮다. 리버풀 영입설이 나도는 기성용도 마찬가지다. 어쨌든 능력이 있다는 방증이다. 사실 박지성은 이런 상황에 익숙하다.
팀 재구성에 나선 맨유는 은퇴한 골키퍼 에드윈 판데르사르의 후계자로 AT마드리드의 다비드 데 헤아와 수비형 미드필더로 레알 마드리드의 라사나 디아라에게 눈독을 들이고 있다. 그런데 이들을 영입하는 것과 박지성을 다른 팀으로 보내는 것은 어떻게 연결되는 것일까. 간단하다. 계약 기간이 내년까지인 박지성의 재계약 협상이 시작되지 않아서 나오는 이야기다. 맨유가 절정의 기량을 선보인 박지성의 적정 연봉 산출 작업을 끝내고 협상이 시작되면 이 같은 구구절절한 이적설은 물거품처럼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리버풀에 기성용은 이미 빅리그에서 뛸 능력이 있고 게다가 젊다. 비슷한 기량의 다른 선수들보다 몸값도 싸고 한국에서 인기도 좋다. 하지만 기성용의 계약 기간은 2년이나 남았고, 리버풀에 가더라도 스티븐 제라드를 밀어내고 주전으로 뛰기는 어렵다. 그리고 1, 2년 뒤에는 더 많은 돈을 받고 빅클럽에, 그것도 주전으로 갈 수 있다. 서두를 이유가 전혀 없다.
●박주영·지동원 - 선택만 남았다
리버풀, 파리 생제르맹, 토트넘 등 실로 다양한 리그와 팀에서 영입설이 나도는 박주영은 어디로든 갈 가능성이 크다. AS모나코는 강등됐다. 박주영의 이적료나 연봉이 싸지는 않지만, 기량을 놓고 봤을 때 비싼 편도 아니다. 국제무대 경험이 많은, 즉시 전력감이다. 군대 문제가 있지만 1, 2년 정도 팀 전력의 극대화를 위해 쓸 만한 카드다. 중요한 것은 본인이 올여름 이적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동원의 경우는 좀 복잡하다. 선덜랜드 진출이 확실시됐다가 다시 네덜란드 PSV에인트호번 이적설이 더해졌다. 나가고 싶은 생각은 굴뚝같지만, 이왕 나갈 거면 친정인 전남에 더 많은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 착한 며느리 심정이다. 바이아웃 조항이 있어도 선수 자신이 싫으면 그만이다. 마지막 선택은 지동원 자신의 몫이고, 문제는 언제냐는 것이다. 오는 26일 강원과의 프로축구 K리그 15라운드가 정말 국내 무대 고별전이 될지 관심이 가는 대목이다. 다시 한 번 기억하자. 유니폼 들고 사진 찍을 때까지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6-2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