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재의 재치 ‘본부석 때리기’

허재의 재치 ‘본부석 때리기’

입력 2011-09-23 00:00
수정 2011-09-23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심판대신 타깃… 효과도 ‘톡톡’

허재 감독은 경기 내내 고성을 질러댔다. “야, 저게 왜 파울이야. 판정이 이상하잖아.” “심판이 왜 자꾸 흐름을 끊어. 너무하는 거 아냐.” 지난 21일 아시아농구선수권대회 이란전 모습이었다.

이미지 확대
허재 농구감독 스포츠서울
허재 농구감독
스포츠서울
허 감독은 애매하고 불리한 판정이 나올 때마다 적극적으로 항의했다. 코트가 울리도록 거칠게 소리를 질렀다. 얼굴은 달아올랐고 제스처도 컸다.

그런데 이상했다. 일절 심판에겐 항의를 안 했다. 판정에 항의하면서도 정작 심판 쪽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본부석을 향해서만 강하게 항의를 계속했다. 국내 리그에서 선수들을 쏘아보던 ‘레이저’ 눈빛을 본부석에다 보냈다. 본부석 임원들은 아예 한국 벤치 쪽을 바라보지도 못했다. 관중들조차 허 감독의 고함이 계속되자 기가 질려 조용해졌다. 허 감독은 왜 그랬을까.

이유가 있었다. 이미 편파 판정이야 각오하고 있었다. 허 감독은 “판정이 애매하다고 해서 내 성질대로 하면 경기를 망친다. 테크니컬 파울이라도 나오면 안 그래도 불리한 경기가 더 불리해진다.”고 했다. 그러나 참고만 있을 수도 없었다. 그는 “타고난 성격이 나빠서 참고 있으면 화병 나서 죽는다. 무조건 표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퇴양난이다.

그래서 타깃으로 잡은 게 본부석이었다. 심판에게 항의하면 테크니컬 파울이 나올 수 있다. 그것도 허 감독처럼 거칠게 항의하면 무조건 파울이 나온다. 그런데 심판은 쳐다보지도 않고 본부석에 항의하니 심판도 할 말이 없다. 심판 권위에 도전한 게 아니기 때문이다. “어차피 말도 안 통하는 거 이렇게라도 화를 풀어야지. 그래도 본부석에 소리 지르고 있으면 심판들이 좀 조심하더라고….” 허 감독의 재치였다.

우한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1-09-2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