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승 해냈다는 생각에 경기 후 눈물 왈칵”

“1승 해냈다는 생각에 경기 후 눈물 왈칵”

입력 2011-10-04 00:00
수정 2011-10-04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자럭비선수들 한마디

●민경진(27·라디오PD) 모두가 크게 안 다치고 무사히 마무리할 수 있어서 천만다행이다. 어떻게 이겼든 1승을 거뒀다. 2승까지 할 수 있었는데 못해서 아쉽고 미안하다. 나로서는 마지막 국가대표 경기였다. 내년에 누가 계속할지 모르겠지만 좀 더 희생정신을 가졌으면 좋겠다. 앞으로도 행운을 빈다.

●송정은(24·이화여대) 지난해 광저우아시안게임에 나갔는데 부상 탓에 많이 못 뛰어 미련이 남았다. 1승이라는 거 꼭 해보고 싶었는데 해냈다는 느낌보다는 아직 부족하다는 자책이 든다. 다쳐서 함께 오지 못한 이제아, 이민희, 안나영, 김선아 등을 생각하며 뛰었고 그 몫까지 해내려고 최선을 다했다.

●최고야(24·이화여대) 포기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땐 럭비를 해보라고 추천하고 싶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5개월의 시간 동안 우리는 포기하지 않는 걸 배웠다고 생각한다. 끝이 보이지 않을 것 같았는데 마지막까지 함께 해줘서 다들 고맙다. 우리는 앞으로 뭐든지 할 수 있을 거야, 파이팅.

●백가희(22·수원대) 이기고 싶은 욕심이 자꾸 생긴다. 오히려 진 게 분하고 억울하다. 어떻게 해야 잘할지 지금에서야 터득했다. 우리는 ‘가능성 있는 팀’이 아니라 ‘잘하는 팀’이 될 수 있다. 내년에 이 멤버들이 다시 함께할 거라고 믿는다. 혹시 럭비를 하고 싶은 사람은 내년 선발전에서 만나자. 내가 잘 이끌어 주겠다.

●김아다가(21·인천대) 팀이 원했던 1승 목표는 이뤘다. 2승까지 했다면 더 떳떳하게 한국에 갈 수 있었을 것 같지만 5개월 만에 첫 승을 거둔 것으로 일단 만족하겠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까지 시간이 많이 남았으니까 지금처럼, 지금보다 더 노력해서 그때는 더 큰 성과를 거두겠다. 그만큼 더 노력하겠다.

●장한아(20·동덕여대) 우리가 그토록 원하고 목말라하던 1승을 거뒀다. 시원섭섭하다. 내 몸에 휴식기간을 줄 수 있어 시원하고 우리의 기량을 실전에서 더 잘 발휘하지 못해 섭섭하다. 어쨌든 원하는 목표를 이뤄 기쁘다. 그 역사적인 순간에 내가 있었다는 자체로 감격스럽고 자랑스럽다.

●최예슬(20·명지대) 상하이대회 때는 부상으로 못 뛰었고, 이번에도 출전시간이 적었다. 1승을 거둔 라오스전에 뛰어서 좋았지만 씁쓸하고 자존심이 상하는 것도 사실이다. 럭비를 하면서 욕심이 날 때도, 회의가 들 때도 많았는데 어쨌든 이런 고된 생활을 묵묵히 견뎠다는 것이 대견하다. 이대로 끝내긴 뭔가 아쉽다.

●서보희(19·경북대) 힘들게 훈련했지만 그만큼 실력 발휘를 못한 것 같다. 1승을 했는데 그래도 뭔가 목마르다. 겁이 많고 포기하는 내 성격과 럭비가 맞지 않아 힘들었지만 금방 또 그리워질 것 같다. 여기서 만난 사람들과 운동하는 게 정말 좋았다. 올해 팀원이 많이 남아서 쭉 역사를 썼으면 좋겠다.

●송소연(18·리라아트고) 우리가 해냈다는 생각에 경기 후 눈물부터 흘렀다. 2승까지 할 수 있었는데 아쉽게 져서 속상하다. 막상 1승을 했는데 목표를 이뤘다는 쾌감보다는 더 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과 욕심이 생긴다. 내년에 어떻게 할지 방향이 보였다는 것에 감사한다. 언니들과 함께한 럭비는 매 순간 감동이었다.

●트레이너 양승희(22·동덕여대) 선수들이 성장하는 과정을 걸음마부터 함께 했다. 선수들이 나를 안 봐도 나는 항상 선수들을 봤다. 마사지나 테이핑을 하느라 고될 때도 많았지만 뿌듯하고 보람을 느낄 때도 많았다. 여자럭비팀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됐던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다.

푸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2011-10-04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