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슬링 올림픽 잔류 희망 보인다

레슬링 올림픽 잔류 희망 보인다

입력 2013-05-10 00:00
수정 2013-05-10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식종목 후보군에 포함 유력시 女자유형 4체급→6체급 세분화

2020년 여름올림픽 정식종목 복귀를 벼르는 레슬링에 모처럼 반가운 소식이 들렸다.

9일 올림픽 전문 인터넷 매체 ‘어라운드 더 링스(ATR)’는 이달 말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집행위원회에서 정식종목 후보군으로 레슬링과 스쿼시, 가라테를 압축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 매체는 지난 2월 IOC 집행위처럼 모든 것을 결정하지 않고 3개 후보군으로 압축한 뒤 9월 부에노스아이레스 IOC 총회에서 최종 결정을 내리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IOC는 2월 스위스 로잔 집행위에서 2020년 대회의 핵심종목 25개를 선정하면서 태권도를 잔류시켰으나 올림픽의 상징과도 같은 레슬링을 제외해 상당한 충격을 안긴 바 있다. 이에 따라 레슬링은 야구·소프트볼, 가라테, 우슈, 롤러스포츠, 스쿼시, 스포츠클라이밍, 웨이크보드 등과 함께 2020년 올림픽 정식종목의 마지막 한 자리를 두고 경쟁해 왔다.

애초 한 차례 집행위의 ‘퇴짜’를 맞은 레슬링의 회생 가능성이 낮게 점쳐지고 기구 통합 등으로 혁신의 움직임을 보인 야구·소프트볼이 경쟁력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ATR은 최근 버드 셀리그 미프로야구(MLB) 커미셔너가 올림픽 기간에 시즌을 중단할 수 없다고 밝히는 등 소극적이어서 야구·소프트볼에 대한 집행위의 평가가 낮아졌다고 전했다.

네나드 라로비치(세르비아) 국제레슬링연맹(FILA) 회장 직무대행이 AP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레슬링 여자 자유형의 체급 세분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힌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라로비치 회장 직대는 “지난해 런던올림픽에서 4체급만 치러진 여자 자유형을 앞으로 6체급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현재 48㎏급, 55㎏급, 63㎏급, 72㎏급으로 나뉘어 있는 여자 자유형을 50~74㎏으로 넓힌 다음 이를 세분화하겠다는 것이며 대신 7체급씩 치러진 남자 자유형과 그레코로만형은 한 체급씩 줄어들게 된다. 일종의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조치다.

라로비치 회장 직대는 “오늘날 여자 레슬링은 정말 역동적이고 재미있기 때문에 남자 종목과 체급 수를 똑같이 늘리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다.

다음 주 러시아 모스크바 FILA 총회에서 확정되면 최대 수혜자는 일본이 될 전망이다. 일본은 레슬링 자유형에 여성 참여가 처음 허용된 2004년 아테네올림픽부터 지난해 런던올림픽까지 세 대회에서 7개의 금메달을 휩쓸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5-10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