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전 폐회…경기도 12연패 달성

전국체전 폐회…경기도 12연패 달성

입력 2013-10-24 00:00
수정 2013-10-24 17: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개최지 스타 박태환 MVP 영예”내년에 제주서 만나요” 폐회식

경기도가 12년 연속으로 전국체전 종합우승을 차지했다.

경기도는 24일 인천에서 막을 내린 제94회 전국체육대회에서 금메달 154개, 은메달 142개, 동메달 134개를 획득, 6만1천156점을 얻어 1위에 올랐다.

가장 많은 선수를 파견한 경기도는 2002년부터 올해까지 체전 12연패를 달성했다.

서울은 금메달 115개, 은메달 100개, 동메달 111개로 4만8천705점을 얻어 2위를 차지했다.

개최 도시로서 가산점을 받은 인천은 금메달 74개, 은메달 60개, 동메달 117개로 4만5천915점을 기록해 3위로 뒤를 이었다.

수영스타 박태환(인천시청)은 기자단 투표에서 최우수선수(MVP)로 선정됐다.

박태환은 이날 열린 남자 일반부 혼계영 400m에서 3위로 밀려 5관왕 달성에 실패했다.

그러나 자유형 200m, 400m, 계영 400m, 800m에서 압도적 기량을 발휘하며 우승, 대회를 가장 빛낸 스타로 가장 많은 표를 얻었다.

체전 마지막 날인 이날에는 단체 구기종목 금메달의 주인이 줄줄이 결정됐다.

부산교통공사는 축구 남자 일반부 결승전에서 청주직지FC(충북)를 2-0으로 이겼다.

서울시청은 축구 여자 일반부 결승전에서 전북KSPO를 4-1로 완파했다.

프로 출신 선수로 구성된 상무(인천)는 농구 남자 일반부 결승에서 한양대(서울)를 79-59로 눌렀다.

경남과학기술대(경남)는 배구 남자 대학부 결승에서 한양대(서울)를 3-2(17-25 21-25 25-19 15-12)로 꺾었다.

동국대는 야구 남자 일반부 결승전에서 단국대(충남)를 4-3으로 따돌렸다.

인천체육회는 여자 일반부 핸드볼 결승전에서 SK슈가그라이더(경기)를 28-22로 제압했다.

체전은 이날 문학경기장에서 열린 폐회식을 끝으로 공식 일정을 모두 마쳤다.

폐회식은 인천이 내년 아시안게임 개최를 통해 아시아의 중심으로 발돋움한다는 주제로 열렸다.

내년 체전의 개최지인 제주특별자치도는 인천으로부터 대회기를 전달받았다.

연합뉴스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특성화고 학생들의 노동인권 교육과 현장실습 관리가 여전히 형식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현장과 동떨어진 교육, 준비된 교재의 부재, 방문 점검의 실효성 부족 등이 드러나면서 교육청이 실질적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소라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지난 14일 열린 제333회 정례회 제7차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근 전국 특성화고 노동조합에서 진행한 ‘특성화고 오픈 마이크’ 행사 관련 보도를 보니 “학생들이 충분한 노동인권 교육을 받고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정지숙 서울시교육청 평생진로교육국장은 “12시간의 사이버 노동인권 교육을 의무화하고 현장실습 나가기 전에 또 3시간의 대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의원은 “사이버 교육 이수율이 90%라고 하지만 사이버 교육만으로는 실질적 이해가 어렵다”며 학생들이 이해와 습득이 됐는지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물으며 대면교육 확대 검토를 주문했다. 현장실습 점검 방식의 실효성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현재 학교와 교육청은 방문 일정을 사전에 조율해 점검을 실시한다. 그러나 학생들은 “방문 전 회사가
thumbnail - 이소라 서울시의원 “특성화고 현장실습, 기습점검으로 학생들 안전한 환경에서 일하도록 해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