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 거침없는 기록 행진…소치까지 ‘씽씽’

이상화, 거침없는 기록 행진…소치까지 ‘씽씽’

입력 2013-11-16 00:00
수정 2013-11-16 14: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치로 가는 ‘빙속 여제’ 이상화(24·서울시청)의 속도에 불이 붙었다.

이상화는 16일(한국시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여자 500m 1차 레이스에서 36초57의 세계신기록을 작성했다.

여자 500m 세계기록은 올해에만 벌써 이상화가 세 번이나 바꿨다.

1월 36초80으로 첫 세계기록을 세운 이상화는 이달 10일 시즌 첫 월드컵에서 36초74로 다시 신기록을 쓰더니 이날 자신의 기록을 한 번 더 갈아치웠다.

여자 500m에서 세 차례 이상 세계기록을 작성한 선수는 이상화까지 9명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서도 한 해에만 세 번의 세계신기록을 만들어낸 선수는 이 종목에서 통산 7차례나 기록을 갈아치운 카트리오나 르메이돈(캐나다) 외엔 이상화뿐이다.

르메이돈은 1997년에만 네 차례 신기록을 냈고 2001년에 다시 세 차례 세계기록을 수립했다.

이상화와 르메이돈보다 앞서서는 앤 헤닝(미국)이 1971년 2월 42초91의 기록을 세우고 이듬해 1월 42초50으로 앞당기기까지 만 1년 사이에 세 번 신기록을 쓴 사례가 있는 정도다.

기록이 향상된 양도 놀라운 수준이다.

2007년 예니 볼프(독일)가 종전 기록(37초22)을 0.18초 앞당긴 37초04를 찍은 이래 여자 500m 기록은 ‘안정기’에 접어드는 듯했다.

이후 볼프가 37초02, 37초00으로 조금씩 줄여나갔고 위징이 다시 36초94로 당겨 5년 동안 0.1초 경신했다.

그러나 이상화가 올해 1월 위징의 기록을 0.14초나 앞당기더니 새 시즌이 시작하자마자 0.06초, 0.17초씩 자신의 기록을 거듭 뛰어넘었다.

1년 사이에 이 종목 세계록은 무려 0.37초 줄어들었다.

이상화가 신기록 행진을 주도하자 전체적으로 여자부 기록이 향상될 조짐을 보인다.

이날 솔트레이크시티에서는 왕베이싱(중국·36초85)이 역대 두 번째로 36초80대 기록을 냈고, 헤서 리처드슨(미국·36초97)은 역대 네 번째로 36초대에 진입했다.

또 한 번의 ‘변화의 시기’를 이상화가 이끄는 셈이다.

이상화에 앞서 이 종목에 격변을 몰고 온 이는 르메이돈이었다.

클랩스케이트의 바람과 함께 등장한 그는 종전 38초69에 머물던 기록을 1997년 37초55로 잡아당겼고, 2001년에는 다시 37초22로 끌어내렸다.

르메이돈은 올림픽에서도 1998년 나가노 대회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대회를 제패해 여자 500m의 마지막 2연패 주인공으로 남아 있다.

이상화가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2연패에 성공한다면 명실상부한 르메이돈의 후계자로 시대를 대표하는 스케이터가 될 수 있다.

김관규 대한빙상경기연맹 전무이사는 “남은 기간에 부상 방지가 중요하다”면서 “지금 페이스가 워낙 좋다 보니 ‘중요한 때에 떨어지면 어떡하나’라는 불안감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아예 잊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도 “신기록을 세우면서도 불안 요소가 있었다면 그런 마음이 들겠지만, 지금은 자세가 워낙 흠잡을 데 없이 안정된 상태라 큰 걱정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