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국가대표, 브래지어 속에 이물질 넣었다가…

女국가대표, 브래지어 속에 이물질 넣었다가…

입력 2014-02-01 00:00
수정 2014-02-01 15: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겨울 스포츠는 심한 경우 1000분의 1초 차이로도 메달 색깔이 달라지는 ‘속도의 전쟁’이 많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 나선 선수들 중에는 행운을 안겨다 줄 독특한 미신에 집착하는 사례들이 적잖다.

연합뉴스는 1일 조직위원회가 제공하는 대회 정보 시스템인 ‘인포 2014’의 선수 프로필을 통해 흥미로운 선수들의 미신 또는 징크스를 소개했다.

영국의 스노보드 선수인 제니 존스(34)는 오랫동안 특별한 찻잎을 몸에 지닌 채 경기를 치렀다. 어느 날 실수로 자신의 브래지어 속에 차를 우려내는 티백을 넣어둔 상태로 경기를 하다가 처음으로 백플립 기술에 성공한 것이 계기가 됐다. 그 티백에서 ‘행운의 찻잎’ 하나를 꺼내 몸에 지닌 채 경기를 치를 때마다 그에게는 행운이 따랐다. 그 찻잎은 수 년 동안이나 존스의 경기복에서 빠져나올 줄 몰랐다. 존스는 지금도 행운을 부른다고 생각하는 속옷과 스노보드를 경기에서 반드시 사용한다.

캐나다의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 미카엘 킹스베리(22)도 자신의 첫 월드컵 정상에 섰을 때 입고 있던 티셔츠를 몇 년 째 버리지 않고 입은 채 경기를 치른다. 그 효과 때문인지 실제로 킹스베리는 2011년 이후 출전한 대회에서 우승하지 못한 경험이 별로 없다.

캐나다의 여자 스노보드 선수인 로잘린드 그로에네우드(25)는 경기할 때면 꼭 밝은 붉은색의 립스틱을 바른다. 어느덧 이 립스틱 색은 그의 트레이드마크가 됐다. 경기를 시작하기 직전 꼭 같은 노래를 듣고 나서야 출발선을 박차고 나서는 습관도 있다.

체코의 여자 스노보드 선수인 에바 삼코바(21)는 경기를 치를 때 꼭 콧수염을 그려 넣어야 하는 미신을 가지고 있다. 콧수염을 그린 여자 선수의 경기 장면 역시 삼코바만이 보여주는 상징처럼 굳어졌다.

일본의 스키점프 대표 와타세 유타(32)는 경기 전 꼭 라면을 먹어야 하고, 아이스하키 스타 더스틴 브라운(미국)과 시드니 크로스비(캐나다)는 반드시 치킨 파스타를 먹는다. 텁수룩한 수염이 인상적인 쇼트트랙의 최강자 샤를 아믈랭(30·캐나다)은 반드시 어머니가 직접 만들어준 파스타를 먹는다고 한다.

한국 스피드스케이팅 대표팀 이규혁(36·서울시청) 최고를 뜻하는 숫자 1이 겹친 11을 좋아해서 경기하는 날 반드시 11시 11분에 시계를 봐야 직성이 풀린다고 한다.

여자 단거리 스피드스케이팅의 절대강자 이상화(25·서울시청)는 지난달 25일 네덜란드 전지훈련을 떠나며 황금빛 여행가방을 들고 출국장에 들어가 눈길을 끌었다. 이상화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때에는 “슈퍼맨처럼 날듯이 잘 타고 싶다”면서 슈퍼맨의 가슴에 새겨진 S자 마크의 귀고리를 걸고 경기를 치러 여자 500m 금메달을 따낸 바 있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