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대로 넘었다… 장애를 넘었다

장대로 넘었다… 장애를 넘었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15-05-19 00:08
수정 2015-05-19 03: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각장애 美여고생 브라운 장대높이뛰기 선수로 활약

빛과 어둠만 겨우 분간할 수 있고 앞을 전혀 보지 못하는 시각장애 여고생이 비장애인도 쉽지 않은 장대높이뛰기 선수로 활약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시각장애 여고생 장대높이뛰기 선수 샬럿 브라운(오른쪽)이 18일 미국 오스틴에서 열린 텍사스주 고교선수권 3위를 차지한 뒤 인도견 ‘바도르’와 시상대에 나란히 앉아 있다. 오스틴 AP 연합뉴스
시각장애 여고생 장대높이뛰기 선수 샬럿 브라운(오른쪽)이 18일 미국 오스틴에서 열린 텍사스주 고교선수권 3위를 차지한 뒤 인도견 ‘바도르’와 시상대에 나란히 앉아 있다.
오스틴 AP 연합뉴스
18일 미국 ESPN에 따르면 텍사스주 에모리 레인스 고교 3학년인 샬럿 브라운(17)은 태어난 지 16주 만에 백내장이 도져 인공 렌즈를 눈에 끼웠다. 어느 정도 정상적인 생활을 했으나 열한 살 무렵 다시 시력이 떨어지면서 완전히 시력을 잃었다. 하지만 달리기를 좋아했던 그녀는 1년여 뒤 “뭔가 위험하면서도 재미있는 일을 해 보고 싶다”며 장대를 처음 잡았다.

2013년부터 오스틴에서 열린 텍사스주 고교선수권에 출전해 온 브라운은 그해 8위, 지난해 공동 4위로 조금씩 성적을 올려왔는데 18일 3.5m의 바를 넘어 드디어 시상대에 올라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지켜보던 수백명의 관중은 기립박수를 보냈다.늘 인도견 ‘바도르’의 도움을 받아 훈련장이나 경기장 트랙을 찾는 브라운은 비장애인보다 훨씬 더 많은 적응 훈련을 한다. 머릿속으로 왼발로 일곱 발자국을 계산해 뛰고 장대를 꽂는 지점은 매트 밑에 넣어두는 신호기가 발신하는 소리를 듣고 파악해 낸다. 비장애인이 거의 들을 수 없는 신호음이지만 그녀는 예민한 청각으로 정확한 위치를 잡아낸다.

내년에 퍼듀대학에 장학생으로 진학하는 브라운은 “3년이 걸려 시상대에 섰다. 결국 해냈다”면서 “누군가에게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면 장대높이뛰기나 육상에 관한 일은 아닐 것이다. 그건 누군가의 앞에 놓인 어떤 형태의 장애에도 행복하게 삶을 이끌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는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5-05-1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