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즌 세 번째 메이저 대회인 윔블던 테니스대회가 29일 영국 윔블던의 올잉글랜드 클럽에서 개막한다.
올해 대회 총상금은 2천675만 파운드(약 468억원)로 책정됐고 남녀 단식 우승자에게는 188만 파운드(약 33억원)를 준다.
1877년 창설돼 4대 메이저 대회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윔블던 테니스대회가 올해 한국 팬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정현(19·삼성증권 후원)이 남자단식 본선에 출전하기 때문이다.
한국 선수의 메이저 대회 단식 본선 출전은 2008년 8월 US오픈의 이형택(39) 이후 이번 대회 정현이 7년 만이다.
7년간 메이저 대회를 ‘남의 나라 잔치’로 여기고 구경꾼 신세였던 한국 테니스는 올해 급성장세를 보인 정현이 지난달 자신의 최고 랭킹인 69위를 찍으면서 윔블던 단식 본선에 직행하는 쾌거를 이뤘다.
지금은 세계 랭킹 78위로 다소 순위가 내려간 정현의 1회전 상대는 26일(한국시간) 대진 추첨 후 정해진다.
정현에게 윔블던은 기분 좋은 추억이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2013년 주니어 남자단식에 출전해 준우승까지 차지했기 때문이다.
당시 주니어 세계 랭킹 41위였던 정현은 비록 결승에서 패했으나 한국 선수로는 네 번째로 메이저 대회 주니어 단식 결승에 진출하는 성과를 올렸다.
특히 결승까지 오르면서 닉 키리오스(29위·호주), 보르나 코리치(39위·크로아티아) 등 지금은 세계 정상급 수준에 올라 있는 선수들을 연파하며 가능성을 확인했다.
정현이 이번 대회 1회전에서 승리하면 2008년 프랑스오픈 이형택 이후 역시 7년 만에 한국 선수가 메이저 대회 단식 본선에서 거두는 승리가 된다.
남자단식에서는 노바크 조코비치(1위·세르비아), 로저 페더러(2위·스위스), 앤디 머리(3위·영국) 등이 1,2,3번 시드를 받았다.
2012년 페더러, 2013년 머리가 우승했고 지난해에는 조코비치가 정상에 올라 올해는 어떤 선수가 남자단식 패권을 차지할지 관심이다.
페더러가 우승하면 윔블던 남자단식 최초로 8번 우승하는 선수가 된다.
이들과 함께 ‘빅4’로 불리는 라파엘 나달(스페인)은 세계 랭킹이 10위까지 밀리면서 10번 시드를 받아 결승까지 진출하려면 험난한 과정을 거쳐야 할 가능성이 크다.
프랑스오픈에서 예상 밖의 우승을 차지한 스탄 바브링카(4위·스위스)와 지난해 US오픈에서 아시아 국적 남자 선수로는 최초로 결승까지 오른 니시코리 게이(5위·일본)도 주목할 대상이다.
여자단식에서는 세리나 윌리엄스(1위·미국)가 두 번째 ‘세리나 슬램’을 달성하게 될 지가 관전 포인트다.
윌리엄스는 지난해 US오픈부터 올해 호주오픈, 프랑스오픈을 연달아 제패했다.
올해 윔블던까지 우승하면 메이저 4개 대회를 연달아 휩쓸게 된다. 윌리엄스는 2002년 프랑스오픈부터 2003년 호주오픈까지도 메이저 대회 4개를 내리 석권한 바 있다.
윌리엄스는 2002년과 2003년, 2009년과 2010년, 2012년 등 이 대회에서 다섯 차례 우승했다.
2011년과 2014년에 윔블던 챔피언에 오른 페트라 크비토바(2위·체코)가 윌리엄스의 대항마로 지목되는 가운데 시모나 할레프(3위·루마니아), 마리야 샤라포바(4위·러시아) 등도 우승 후보로 거론된다.
연합뉴스
올해 대회 총상금은 2천675만 파운드(약 468억원)로 책정됐고 남녀 단식 우승자에게는 188만 파운드(약 33억원)를 준다.
1877년 창설돼 4대 메이저 대회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윔블던 테니스대회가 올해 한국 팬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은 정현(19·삼성증권 후원)이 남자단식 본선에 출전하기 때문이다.
한국 선수의 메이저 대회 단식 본선 출전은 2008년 8월 US오픈의 이형택(39) 이후 이번 대회 정현이 7년 만이다.
7년간 메이저 대회를 ‘남의 나라 잔치’로 여기고 구경꾼 신세였던 한국 테니스는 올해 급성장세를 보인 정현이 지난달 자신의 최고 랭킹인 69위를 찍으면서 윔블던 단식 본선에 직행하는 쾌거를 이뤘다.
지금은 세계 랭킹 78위로 다소 순위가 내려간 정현의 1회전 상대는 26일(한국시간) 대진 추첨 후 정해진다.
정현에게 윔블던은 기분 좋은 추억이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2013년 주니어 남자단식에 출전해 준우승까지 차지했기 때문이다.
당시 주니어 세계 랭킹 41위였던 정현은 비록 결승에서 패했으나 한국 선수로는 네 번째로 메이저 대회 주니어 단식 결승에 진출하는 성과를 올렸다.
특히 결승까지 오르면서 닉 키리오스(29위·호주), 보르나 코리치(39위·크로아티아) 등 지금은 세계 정상급 수준에 올라 있는 선수들을 연파하며 가능성을 확인했다.
정현이 이번 대회 1회전에서 승리하면 2008년 프랑스오픈 이형택 이후 역시 7년 만에 한국 선수가 메이저 대회 단식 본선에서 거두는 승리가 된다.
남자단식에서는 노바크 조코비치(1위·세르비아), 로저 페더러(2위·스위스), 앤디 머리(3위·영국) 등이 1,2,3번 시드를 받았다.
2012년 페더러, 2013년 머리가 우승했고 지난해에는 조코비치가 정상에 올라 올해는 어떤 선수가 남자단식 패권을 차지할지 관심이다.
페더러가 우승하면 윔블던 남자단식 최초로 8번 우승하는 선수가 된다.
이들과 함께 ‘빅4’로 불리는 라파엘 나달(스페인)은 세계 랭킹이 10위까지 밀리면서 10번 시드를 받아 결승까지 진출하려면 험난한 과정을 거쳐야 할 가능성이 크다.
프랑스오픈에서 예상 밖의 우승을 차지한 스탄 바브링카(4위·스위스)와 지난해 US오픈에서 아시아 국적 남자 선수로는 최초로 결승까지 오른 니시코리 게이(5위·일본)도 주목할 대상이다.
여자단식에서는 세리나 윌리엄스(1위·미국)가 두 번째 ‘세리나 슬램’을 달성하게 될 지가 관전 포인트다.
윌리엄스는 지난해 US오픈부터 올해 호주오픈, 프랑스오픈을 연달아 제패했다.
올해 윔블던까지 우승하면 메이저 4개 대회를 연달아 휩쓸게 된다. 윌리엄스는 2002년 프랑스오픈부터 2003년 호주오픈까지도 메이저 대회 4개를 내리 석권한 바 있다.
윌리엄스는 2002년과 2003년, 2009년과 2010년, 2012년 등 이 대회에서 다섯 차례 우승했다.
2011년과 2014년에 윔블던 챔피언에 오른 페트라 크비토바(2위·체코)가 윌리엄스의 대항마로 지목되는 가운데 시모나 할레프(3위·루마니아), 마리야 샤라포바(4위·러시아) 등도 우승 후보로 거론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