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대표팀에서도 톡톡 튀는 말과 행동으로 ‘4차원 소녀’로 통하는 정다래 때문에 분위기는 더 누그러졌다.
여자 평영 200m에서 금메달을 딴 정다래는 “이번 대회를 준비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때는 언제였나.그리고 금메달을 따는 순간 어떤 생각이 들었나?”라는 질문을 받고는 뜬금없이 “뭐라고 했는지 잘 기억이 안 난다”라고 말해 웃음꽃이 터지게 했다.
그는 다시 질문 내용을 듣고는 “연습할 때 예전보다 못해 여기 와서도 걱정을 많이 했다.다행히 경기 때 몸 상태가 좋아져 자신감이 많이 생겼던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두 번째 질문이 또 생각이 안 났는지 “뭐라구요?”라고 묻고는 “너무 많이 울어서 기억 잘 안 나는데 엄청 기뻤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정다래는 인터뷰는 계속 이런 식이었다.
’금메달을 따고 달라진 점은 무엇인가.다른 종목은 하고 싶은 것이 있나?’라는 질문이 나오자 “크게 달라진 점은 잘 모르겠는데 일단 알아보시는 분이 늘어난 것 같고,사인해달라고 해서 쑥스럽다”고 답하더니 다 들리는 혼잣말로 “그 다음은 뭐지? 아,저는 평영 밖에 내세울 것이 없어서...자유형 장거리 쪽은 한번 해보고 싶다”고 덧붙였다.
정다래는 2012년 런던 올림픽에 대한 생각을 묻자 “원래 목표가 아시안게임 금메달이었다.2년 후 올림픽은 아직 아시안게임이 다 끝난 것이 아니라서 아직 잘 모르겠다”고 답하더니 “좀 쉬고..쉽시다!”라고 말해 다시 한번 웃음폭탄을 터트렸다.
정다래가 질문에 답할 때마다 옆에 있던 박태환은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싸면서 웃음을 참아내려 애썼다.
정다래 때문에 유쾌한 기자회견이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