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호, 시즌 막판 빛났던 ‘야구 박사’

한화 이글스 제공
최 감독은 한화의 마무리 훈련까지 마치고 최근 다시 2군 감독으로 복귀했다. 그는 10일 “요즘은 서산에 들어온 신인 선수를 지도하고 있다”고 근황을 전했다.
최 감독은 팀이 14연패에 빠진 지난 6월 갑작스럽게 대행을 맡았고 그 뒤로 4연패를 더했다. 18연패는 프로야구 역대 최다 기록 타이다.
최 감독은 “연패가 늘어날 때마다 쫓기는 상황이 될 수밖에 없었다”며 “순리대로 가는 것이 더 낫다는 걸 배우게 됐다”고 돌이켰다. 올해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도 당시 연패를 끊어 낸 순간이었다고 한다.
모교인 단국대에서 2017년 운동역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최 감독은 이론과 현실의 괴리를 경험했다. 최 감독은 “선발투수는 6일을 쉬는 게 권고사항인데 당사자인 외국인 선수들이 부정적이었다”며 “데이터는 기준을 세우는 데 중요하지만 선수의 성격, 성향 등 다른 부분도 봐야 할 것이 많았다”고 털어놨다.
역대 첫 100패의 위기가 따라다니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최 감독은 원칙을 세우려 노력했고 젊은 선수의 성장에도 힘썼다. 그 결과 올해 데뷔한 강재민이 50경기에서 평균자책점(ERA) 2.57로 맹활약했고 지난해까지 1군 등판이 전혀 없던 윤대경이 55경기 ERA 1.59로 핵심 불펜이 됐다. 팀 내 최다 홈런을 기록한 노시환을 비롯해 임종찬, 최인호 등 젊은 야수도 성장 가능성을 보여 줬다. 한화가 시즌 막판 고춧가루 부대로 변신할 수 있던 결정적인 비결이었다.
최근 베테랑을 대거 방출한 한화는 마이너리그 감독 경험이 풍부한 카를로스 수베로 감독을 영입하면서 리빌딩 의지를 다졌다. 그만큼 최 감독의 역할도 중요해졌다. 최 감독은 “새 감독님께 조언을 얻으면서 좋은 육성 시스템을 만들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무엇보다 ‘야구박사’ 최 감독은 현장에서 자신의 이론이 잘 적용되기를 바랐다. 최 감독은 “몸으로 운동하는 선수들이 이론을 정립하고 생각하는 훈련을 통해 동작의 원리를 이해하고 무엇 때문에 안 좋아졌는지 고민한다면 발전 속도가 더 빨라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10년 뒤 한화에서 좋은 선수가 나와 강팀이 된다면 그때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지 않을까”는 말로 기대감을 나타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2020-12-1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