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②샤프트 제작의 비밀

[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②샤프트 제작의 비밀

최병규 기자
입력 2015-03-17 23:42
수정 2015-03-17 23: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첨단 공법·수작업 등 제조사별 비밀 기술로 탄생… 가격·품질도 ‘천차만별’

골프 클럽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헤드가 아니라 그립(손잡이)과 헤드를 연결해 주는 샤프트다. 플라스틱과 흡사한 소재의 그라파이트와 아이언클럽에 흔히 사용되는 스틸 재질 등 크게 둘로 나뉜다.

그라파이트 샤프트의 제조 공법은 일반적으로 세 단계를 거친다. 먼저 커팅(Cutting). 주원료인 그라파이트 원사(原絲)를 사용해 만든 헝겊 모양의 원단을 7~12개 조각으로 재단하는 작업이다.

그 뒤 각 원단의 결을 원하는 각도대로 교차시켜 겹겹이 기다란 원통 모양의 틀에 붙인다. 여기서 몇 그램, 몇 개의 원단 조각을 어떤 각도대로 샤프트의 어느(위, 아래, 중간) 부분에 배치하느냐에 따라 무게와 강도, 볼의 탄도 등 다양한 결과가 산출된다. 이것이 결국 각 회사의 제조 비밀이다.

다음은 롤링(Rolling). 원단을 기다란 샤프트 틀에 접착하는 공정이다. 또 한번 제품의 질이 여기에서 결정된다. 강도와 곧기를 일정하게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수작업이다 보니 100% 완벽할 수 없다. 따라서 정해진 오차 범위 내로 작업하는 것이 핵심이다.

미국 최고의 피팅 전문회사인 C사에서는 ‘S3’라는 기계를 자체 제작해 샤프트 각 면을 2분 30초 만에 분석하는, 이른바 ‘샤프트 MRI’를 만들어 2015년 PGA 골프쇼에서 주목을 한 몸에 받았다.

마지막으로 샌딩(Sanding). 샤프트를 마는 과정인 롤링을 마치고 도자기 굽듯 일정 온도에서 구워 낸 샤프트를 틀에서 빼낸 뒤 생긴 울퉁불퉁한 부분을 매끈하게 갈아 내는 작업이다. 여기에 제조사의 로고와 스펙 등 관련 정보를 인쇄해 넣으면 비로소 우리가 사용하는 클럽 샤프트가 완성된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제작 특성상 샤프트는 동일한 제품이 거의 없고 100% 곧은 샤프트 또한 없다. 그러나 분명한 건 가볍고 뒤틀림(토크)이 없는 샤프트가 최상이라는 사실이다. 결국 기본 재료인 원사가 품질을 좌우하는데, 그 가격이 몇천원~몇천만원까지 천차만별이다.

클럽 헤드의 진화는 지난 20년간 거의 멈춰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샤프트는 이처럼 지금도 어마어마한 변신을 위해 몸부림을 치고 있다.

cbk91065@seoul.co.kr

■도움말 신재호 한국클리블랜드골프㈜ 대표이사
2015-03-18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