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⑫ ‘손잡이를 쥐는 행위’로서의 그립

[최병규 전문기자의 골프는 과학이다] ⑫ ‘손잡이를 쥐는 행위’로서의 그립

최병규 기자
입력 2015-06-16 23:50
수정 2015-06-17 01: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그립 최대한 견고하게 쥐어야 좋은 스윙 나와

그립 이야기 두 번째다. 이번에는 골프채 손잡이 그립이 아니라 ‘손잡이를 쥐는 행위’로서의 그립이다.


그립은 스윙의 첫 단계다. 흔히 “제대로 그립하는 데만 3년이 걸린다”고 하지만 그 3년 이후에도 그립(손잡이)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는 두고두고 골칫거리다. 강약 조절이 고민의 주범(?)이다.

스윙 교과서에 그립의 강도는 여러 가지로 표현된다. ‘날달걀을 잡듯이’나 ‘병아리를 감싸듯이’ 등이 전통적인 가르침이다. 3년 전 국내의 한 필드에서 만난 최경주 프로는 “그립은 가능한 한 견고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스윙을 시작할 때부터 임팩트, 그리고 폴로 스윙하는 동안 동일한 힘으로 골프채를 가볍게 잡는다면 몸의 회전과 근력에서 나오는 힘이 절대로 골프채 헤드에 전달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립을 부드럽게 하라는 건 헤드의 무게를 느끼라는 이야기다. 그립을 꽉 쥘수록 두 팔과 어깨의 근육이 굳어져 유연한 스윙을 방해한다. 그러면 최경주는 왜 단단히 잡으라고 했을까. 그가 말한 견고함과 단단함이라는 건 그립(손잡이)과 두 손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하라는 것이지, 무조건 세게 꽉 쥐라는 뜻이 아니다. 최경주는 “쉽지는 않지만 어깨의 힘을 빼 두 팔을 유연하게 하고 그립은 가능한 한 단단히 하라”고 말한다.

1990년대 이후 프로골프 투어에서는 곧은 샷보다는 거리가 중요해졌다. 왼손 손등이 2~3개 보일 정도로 손잡이를 잡고 두 손을 오른쪽으로 돌려 잡는 ‘스트롱 그립’이 대세가 됐다. 스윙 스피드를 높이기 위해 클럽 헤드를 최대한 빨리 움직여야 하고, 그 가속을 버틸 만큼 그립도 강하게 하는 게 중요해졌다. 장타자인 로리 매킬로이나 타이거 우즈를 포함, 현재 미국프로골프(PGA) 투어에서 뛰는 10명 중 8명은 스트롱그립을 한다.

또, 과거에는 왼손으로 그립을 하고 오른손은 그 위에 가볍게 올려놓기만 하면 된다고 봤다. 임팩트도 왼손만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왼손과 오른손 힘의 비율은 50대50이 대세다. 왼손의 역할은 방향, 오른손은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두 손에 똑같은 힘이 배분될 때 정확하고 멀리 칠 수 있다는 논리다.

하지만 그립의 강도는 골퍼 개개인의 스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만약 원심력을 이용한 부드러운 스윙을 하는 골퍼라면 그립을 되도록 가볍게, 반대로 때리는 스윙을 하는 골퍼라면 상대적으로 세게 잡는 것이 좋다.

cbk91065@seoul.co.kr
2015-06-1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