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력·멘털 탄탄… 가족 덕에 든든… 비오, 올핸 딴딴

체력·멘털 탄탄… 가족 덕에 든든… 비오, 올핸 딴딴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22-05-03 22:32
수정 2022-05-04 0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층 성숙해진 김비오, 코리안투어 다승왕 도전장

올 시즌 아시안투어 3차례 톱10
“편하게 골프 즐기자고 마음먹어
스스로 믿음 강해져 뚝심 있게 쳐
박진감 넘치는 경기로 팬 늘릴 것”

이미지 확대
‘GS칼텍스-매경오픈’을 통해 올 시즌 국내 대회에 처음 출전하는 김비오가 샷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비오는 올해 3승 이상을 거둬 다승왕과 상금왕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호반건설 골프단 제공
‘GS칼텍스-매경오픈’을 통해 올 시즌 국내 대회에 처음 출전하는 김비오가 샷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비오는 올해 3승 이상을 거둬 다승왕과 상금왕에 오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호반건설 골프단 제공
“예전보다 뚝심 있는 골프를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올 시즌 목표는 3승 이상을 거둬 다승왕이 되는 것입니다.”

한국프로골프(KPGA) 코리안투어 ‘GS칼텍스-매경오픈’(총상금 12억원) 출전을 앞두고 밝힌 김비오(32)의 목표는 짧고 뚜렷했다. 3일 김비오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해보다 대회가 늘어난 만큼 다승왕 경쟁도 이전보다 더 치열할 것 같다”며 “그래도 다승왕, 상금왕이 되겠다는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김비오는 GS칼텍스-매경오픈에서 우승해 올 시즌 다승왕의 초석을 놓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김비오는 체력적인 부분과 기술적인 부분을 많이 보강했다. 특히 멘털을 강화하는 데 힘썼다.

김비오는 “가족과 시간을 많이 보내면서 마음의 여유를 찾기 위해 노력했다”며 “예전에는 성적에 따라 마음이 많이 흔들렸는데, 조금 더 편하게 골프를 즐기자고 마음을 먹으면서 경기 운영도 나아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신적으로 달라진 부분은 예전에는 ‘자존심’이 높았는데, 지금은 ‘자존감’이 좀더 높아진 것”이라면서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강해지며 뚝심 있게 플레이를 할 수 있게 됐고, 결과도 좋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비오는 올 시즌 아시안투어 ‘트러스트 골프 아시안 믹스드컵’(공동 3위)과 ‘로열스컵’(공동 4위), ‘인터내셔널 시리즈 타일랜드’(공동 5위) 등에 출전해 톱10에 3차례나 들었다. 이번에 출전하는 GS칼텍스-매경오픈도 김비오에게 좋은 기억이 있는 대회다. 2012년에 우승컵을 들어 올리기도 했고, 2020년과 지난해에는 공동 4위에 오르는 등 성적이 나쁘지 않았다.

초등학교 3학년 때 아버지의 권유로 골프채를 처음 든 김비오는 청소년 시절 국가대표를 거쳐 2009년 프로에 데뷔했다. 프로무대에서 김비오는 ▲2010년 ‘조니워커 오픈’ ▲2011년 ‘난산 차이나 마스터스’ ▲2012년 ‘GS칼텍스-매경오픈’, ‘SK텔레콤 오픈’ ▲2019년 ‘NS홈쇼핑 군산CC 전북오픈’, ‘DGB금융그룹 Volvik 대구경북오픈’ ▲2021년 ‘LG 시그니처 플레이어스 챔피언십’ 등 KPGA 6승과 아시안투어 1승 등 총 7승을 거뒀다.

지난 시즌에는 코리안투어 16개 대회에 출전해 톱10에 6차례 들면서 제네시스 포인트 7위(3764.38점)에 올랐다.

특히 최종전이었던 ‘LG 시그니처 플레이어스 챔피언십’에서 우승하면서 기분 좋게 한 해를 마무리했다. 김비오는 “최근 20·30대 골프팬이 많이 늘었는데, 좀더 재미있고 박진감 넘치는 플레이로 골프팬이 늘어나는 데 도움이 되고 싶다”고 전했다.

경기 성남시 남서울 컨트리클럽(파71)에서 5일부터 오는 8일까지 나흘간 진행되는 ‘GS칼텍스-매경오픈’에는 김비오를 비롯해 허인회, 박상현, 이태희 등이 출전해 우승 경쟁을 벌인다.
2022-05-04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