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항저우에서 다시 만나요…한반도기·K팝과 함께 폐막

[아시안게임] 항저우에서 다시 만나요…한반도기·K팝과 함께 폐막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9-02 20:38
수정 2018-09-02 2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과 북한, 폐회식에서도 한반도기 들고 공동 입장

16일 동안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겔로라 붕 카르노(GBK) 주 경기장을 밝혔던 성화가 꺼졌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의 폐회를 알리는 ‘신호’다.

자카르타, 팔렘방의 더위 속에서 열전을 펼친 아시아 선수들은 4년 뒤 중국 항저우에서의 만남을 약속하고 마지막 축제를 즐겼다.

18회 아시안게임 폐회식이 2일 GBK 주 경기장에서 열렸다.

한국은 이번 폐회식에서도 주목받았다.

한국과 북한은 8월 18일 개회식에서 한반도기를 앞세워 공동입장해 큰 박수를 받았다.

폐회식에서도 남북 선수단은 한반도기 아래 뒤섞여 입장하며 ‘원 코리아’의 감동을 선사했다.

일정을 마친 종목 선수들 상당수가 귀국해 참석 인원은 줄었지만, 감동의 크기는 여전했다.

남북 단일팀의 원조 종목인 탁구 선수들이 폐회식에선 나란히 한반도기를 들었다. 남측 서효원(31)과 북측 최일(25)이 공동기수로 폐회식을 장식했다.

선수단 외에도 주목받은 한국인이 있다.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에서도 큰 인기를 끄는 K팝 스타들이 GBK 주 경기장에 열기를 불렀다.

보이그룹 슈퍼주니어, 아이콘은 폐회식에서 인도네시아 특급 스타들과 화합의 무대를 꾸몄다.

한국은 이번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49개, 은 58개, 동 70개를 얻어 중국, 일본에 이어 3위로 밀렸다. 한국이 아시안게임에서 3위로 밀린 건 1994년 히로시마 대회 이후 24년 만이다.

남자 축구, 야구 등 인기 구기 종목이 동반 금메달을 수확하고, ‘사이클 여제’ 나아름이 4관왕에 오르는 등 자카르타와 팔렘방 곳곳에서 낭보가 들렸다.

하지만 ‘금메달 65개로 6회 연속 종합 2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는 물거품이 됐다.

1982년 뉴델리 대회 이후 36년 만에 금메달 50개 미만의 아쉬운 성적표를 받기도 했다.

폐회식에서 마지막 축제를 즐긴 한국 선수단은 2022년 항저우에서의 2위 탈환을 다짐하며 GBK 주 경기장을 나섰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