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라운지] “팀이름처럼 다양한 꿈 품고 달렸으면”

[스포츠 라운지] “팀이름처럼 다양한 꿈 품고 달렸으면”

입력 2014-03-13 00:00
수정 2014-03-13 04: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창단 주역 문상모 서울시의원·김경수 공릉중 감독

“선수들이 무지개처럼 다양한 색깔의 꿈을 꾸고, 실현해 가면 좋겠습니다.”

노원 레인보우FC의 창단을 이끈 문상모 서울시의원과 김경수 공릉중 축구부 감독(체육교사)은 원래 지역 클럽팀을 만들 계획이 아니었다.

문상모 서울시의원
문상모 서울시의원
공부하는 축구부로 유명한 공릉중 축구부를 이끌어 온 김 감독은 고교에 진학하면서 공부와 운동 가운데 하나를 골라야 하는 제자들의 현실이 안타까웠다. 또 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인 문 의원은 메달을 바라보며 엘리트 체육만 중시하는 현실이 못마땅했다.

의기투합한 문 의원과 김 감독은 노원지역 고교들을 돌아다니며 “공릉중처럼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 축구부를 만들어 보자”고 설득했다. 하지만 모든 학교들이 난색을 표했다. 문 의원은 “대부분의 학교가 운동부를 ‘사고집단’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학교든 언제 무슨 문제가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안고 싶어 하지 않았다”며 “차라리 학교 운동부를 넘어서는 새로운 모범 사례를 만들자고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그 결과 지난해 2월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 지역 클럽팀인 레인보우FC가 만들어졌다.

김 감독은 “학생들은 믿음이 있었지만, 자녀들의 진학을 우선 생각하는 학부모들의 참여를 설득하기가 쉽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지금은 지원자가 많아 고민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레인보우’란 클럽 이름에는 선수들이 국가대표만이 아니라 다양한 꿈과 희망을 품고 앞길을 헤쳐 나갔으면 좋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김 감독은 “축구를 하다 잘 풀려 국가대표까지 하는 경우는 하늘의 별 따기”라며 “그 나머지도 나름의 성공한 인생,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의원은 “레인보우FC가 모범 사례가 되고, 비슷한 축구팀이 많아지면 자연스레 학교 운동부의 고질적인 병폐도 사라지지 않겠느냐”며 “레인보우FC 선수들이 국가대표는 물론 체육박사, 스포츠 에이전트와 변호사 등 여러 방면에서 성공하고, 행복한 삶을 살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4-03-13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