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구단 돌고 돈 끝에 친정 FC서울과 3년 계약
박주영(30)이 7년 만에 돌아오는 FC 서울에서 과거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까?2005년 서울 구단에 입단하면서 구름 관중을 그라운드에 불러 모았던 박주영이 2008년 해외 진출 이후 7년 만에 국내 프로축구 K리그에 돌아와 친정 팀인 서울 유니폼을 입는다. 서울 구단은 10일 박주영과의 3년 계약 성사를 공식 발표하며 그가 협상 과정에서 연봉과 같은 조건을 거의 따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재하 단장은 “연봉은 백의종군 수준”이라며 “나중에 밝혀지겠지만 최고 수준과 현격한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2008년 프랑스 프로축구 AS모나코로 이적했던 박주영이 7년 만에 국내 프로축구 K리그 FC 서울에 돌아와 과거의 명성을 회복할지 주목된다. 사진은 서울에 몸담았던 2007년 3월 삼성하우젠컵 수원과의 경기 후반 득점에 성공한 뒤 기뻐하는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서울 구단은 독일과 스코틀랜드 등에서 활약하다 서울로 돌아와 화려한 말년을 보내고 있는 차두리(35)의 사례를 들어 박주영을 설득했다. 이 단장은 “박주영이 한때 국내에서 ‘축구천재’로 불리면서 받은 사랑을 회복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그가 서울에서 부활하면 한국 축구도 잃어버린 자산을 하나 되찾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구단은 “박주영이 헌신하는 자세로 서울과 K리그 발전을 위해 모든 것을 쏟아내겠다는 각오를 밝혔다”며 “어릴 때 서울을 떠나 고참으로 복귀하는 만큼 선후배의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다짐했다”고 전했다.
박주영은 2005년 서울에 입단, 데뷔 시즌에 18골을 터뜨리며 K리그 사상 첫 만장일치 신인왕을 거머쥐며 간판 스타로 떠올랐다. 이듬해 8골, 2007년 5골, 2008년 두 골을 터뜨린 뒤 프랑스 AS모나코로 이적했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아스널에 입단한 뒤부터 출전 기회를 잡지 못하고 스페인 셀타 비고, 잉글랜드 2부 왓퍼드에서 임대 선수로 뛰었지만 끝내 아스널 전력에 포함되지 못했다. 지난해 아스널과의 계약이 끝난 뒤 알샤밥에 잠시 몸담았으나 뚜렷하게 활약하지 못했다.
서울은 박주영의 복귀로 데얀의 이적 이후 중앙 스트라이커 고민을 해결하게 됐다. 뚜렷한 흥행 요인을 찾지 못하고 있는 K리그에 팬들의 발길을 다시 모으는 마케팅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적지 않은 축구 팬들은 2010년 사상 첫 월드컵 원정 16강과 2년 뒤 런던올림픽 동메달을 이끈 공헌과 별개로 병역 기피를 목적으로 해외로 이적했으며 해외에서의 활약이 변변찮았던 점을 들어 냉담한 시선을 거두지 않고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5-03-1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