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112㎡)도 1250만원가량 떨어진 9억 2000만~10억원 선에 거래가 이뤄졌다. 재건축 사업에 대한 정책적 불확실성이 커진 탓으로 풀이된다.
강남구 개포·대치·압구정동 등에선 일반 아파트 가격도 줄줄이 떨어졌다. 봄 이사수요를 기대했던 집주인들이 시장 반응이 냉랭하자 다시 가격을 낮춰 집을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대치동 미도1차(112㎡)는 9억 5000만~10억 5000만원으로 2500만원가량 떨어졌다.
양천구 목동 신시기가지에서는 대형 아파트의 거래가 아예 종적을 감췄다. 신정동 목동신시가지12단지(89㎡)는 2000만원가량 떨어진 4억 9000만~5억 5000만원 선에 거래됐다.
신도시에서는 일산, 평촌, 분당이 모두 떨어졌다. 지난해 말 취득세 감면혜택이 일몰되면서 나온 급매물이 아직도 소진되지 못한 상태다. 일산 장항동 호수LG(161㎡)는 5억 5000만~6억원 선으로 전주에 비해 4000만원가량 내려갔다. 경기 지역에선 과천, 고양, 하남, 성남의 집값 내림세가 강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03-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