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릭스(BRICS)는 원래 2000년대 초반 세계화의 파고를 타고 부상한 신흥 경제대국들을 묶어 부르던 하나의 ‘투자 용어’였다. 골드만삭스가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을 한데 묶어 명명하자 이들 국가는 세계경제의 새로운 성장 엔진으로 주목받았다. 2009년 네 나라가 실제 정상회의를 열며 협의체로 변신했고, 2010년 남아공이 합류하면서 오늘날의 5개국 체제가 됐다.
출발은 철저히 경제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을 앞세운 서방 주도의 금융질서에 불만이 쌓였고 신흥국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힘을 모았다. 초기 브릭스 정상회의는 ‘개도국의 대표성 확대’와 ‘세계경제의 다극화’를 기치로 내세우며 국제질서 개혁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그러나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브릭스의 무게는 달라졌다. 미국이 인도·태평양 전략과 G7을 중심으로 규범 질서를 강조하는 동안 중국은 브릭스를 앞세워 서방 질서의 대안을 제시했다. 지난해 이란, 아랍에미리트 등 5개국이 초청을 받으며 외연이 넓어졌다. 이제 회원국 전체는 전 세계 명목 GDP의 약 35%를 차지하는 거대 블록으로 부상했다.
최근 열린 제17차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미국을 겨냥해 “일방적 관세전쟁이 국제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브릭스의 반미정책에 동조하는 국가는 추가 관세를 각오해야 할 것”이라고 맞받았다. 브라질과 인도 모두 관세 협상 과정에서 미국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인도는 전략적 자율성을 훼손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인다.
한국에 브릭스는 기회이자 도전이다. 신흥국 협력의 창구가 될 수 있지만 반서방 블록으로 기울 경우 외교의 공간은 좁아진다. ‘안미경중’의 방정식이 흔들린 지금 브릭스의 진화를 예의 주시하며 국익을 지킬 섬세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
2025-09-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