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 제공
빵 나눔 봉사활동에 참가한 서울교통공사 직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제공
서울교통공사 제공
국내 최대 도시철도 운영기관인 서울교통공사가 ‘지역 상생 발전’을 목표로 시민과 지역사회를 위한 사회공헌활동에 팔을 걷어붙였다. 그 밑바탕에는 도시 곳곳에 뻗어 있는 서울지하철의 방대한 인프라가 있다.
잠실역 등 주요 역의 공실 상가와 유휴공간을 지역 농수특산물 판매·홍보 거점 공간으로 탈바꿈시킨 ‘서울Pick’은 대표적인 상생 모델이다. 반포역 시민 안전 체험관에서는 매월 시민과 지역 아동을 초청해 기관사 체험, 화재 대피 VR훈련 등 실전형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지난해만 1만명 이상이 다녀갈 정도로 인기다. 걸음을 옮길 때마다 자동으로 지역사회에 기부가 이뤄지는 7호선 강남구청역 기부 계단은 서울지하철의 명물이다.
또 교통공사 내부에 사회공헌 문화가 깊이 뿌리내릴 수 있었던 비결은 ‘자발성’이다. 직원들이 스스로 활동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시스템이 자리 잡으면서, 다채로운 활동이 전개될 수 있었다. 우수 제안에는 활동비를 지원하는 제도를 통해 참여에 동력을 더했다. 장애인 재활치료와 소외계층 교육, 골목상권 활성화 등 이색적인 활동들은 모두 직원들의 관심과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올해는 사회공헌 예산을 두 배로 늘려 20개 부서와 3개 사내 봉사동호회에 활동비를 지급했다. 지난 3월 경북·경남 지역 대형산불에는 임직원이 자발적으로 모은 1억원을 전달하기도 했다.
나눔 활동의 사회 확산 등을 위해 전문기관과 협력도 강화했다. 지난해부터 대한적십자사와 ‘Metro 나눔과 동행 기금’을 조성해 7300여만원을 위기가정의 의료비와 주거비로 지원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는 204개 역에 모금함을 공동으로 설치해 교통카드 잔액 및 현금을 기부받고 있다. 올 상반기에만 4,800만 원이 모금돼 취약계층에 전달될 예정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최근 5년간 기부금 예산을 30% 이상 증액하며 접근성 높고 지속 가능한 사회공헌 환경 조성을 새로운 과제로 삼고 있다.
2025-07-24 4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