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70년 4월 완공 넉달만에 붕괴된 와우아파트

[DB를 열다] 1970년 4월 완공 넉달만에 붕괴된 와우아파트

입력 2013-03-12 00:00
수정 2013-03-12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70년 4월 8일 오전 6시 40분쯤 서울 마포구 창전동 와우산 중턱 5층짜리 시민아파트 한 동이 무너져 내렸다. 이 사고로 미처 잠에서 깨지도 못했던 시민 33명이 사망했고 38명이 다쳤다. 아래 판잣집에 살던 1명도 희생되었다. 시민아파트는 걷잡을 수 없이 늘어나던 무허가 건물에 대한 대책이었다. 당시 김현옥 시장은 9만여채의 무허가 건물을 철거해서 거주자 대부분은 경기도 광주(현 성남시) 대단지에 이주시키고 나머지 가구들을 위해 시민아파트 건립 계획을 세웠다.

이미지 확대
이렇게 해서 1969년 한 해에만 서울 32개 지구에 406동 1만 5840가구의 아파트가 지어졌다. 단기간에 많은 아파트를 짓다 보니 공사가 부실해진 것은 당연했다. 더욱이 시민아파트들은 비탈진 산 중턱에 지어졌는데, 황당한 것이 아파트가 쉽게 대통령의 눈에 띄게 한다는 이유였다. 단 여섯 달 만에 준공된 와우아파트도 부실 덩어리였다. 건설업자는 무면허였고 공사를 따내기 위해 뇌물을 줘야 했기 때문에 공사비를 줄이려고 철근 70개를 넣어야 할 기둥에 겨우 5개만 넣었다. 콘크리트 기둥에도 시멘트를 적게 넣어 심하게 말하면 모래기둥을 세워 놓은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결국 와우아파트는 완공 넉 달 만에 참사를 불렀다. 이 사고로 김 시장이 물러나고 부실한 아파트들을 철거했지만 부실 공사에 따른 참사는 20여년 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로 재현됐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3-1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