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실에서 환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은 두 가지로 요약된다. “저는 왜 당뇨병이 생겼어요?”와 “저는 왜 이렇게 약이 많아요?”다. 당연히 환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복용하는 약물에 대한 궁금증과 함께 여러 약을 먹는 것이 옳은지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사실 첫 번째 질문인 당뇨병의 발병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한 가지만으로 답하기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바로 당뇨병의 다면적인 발병 원인 때문이다. 당뇨병은 단순히 인슐린 부족만으로 발생하는 질환이 아니다. 유전적 원인으로부터 시작해 비만 및 운동 부족으로 인한 인슐린 저항성 증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도 기능의 상대적인 결핍이 동시에 작용한다. 여기에 더해 간에서 포도당 생성 조절의 이상이나 신장에서의 과도한 포도당 재흡수 등 너무나 다양한 생리학적 경로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많은 환자가 당뇨병으로 진단받아 약물치료를 시작할 때 “약 하나만 먹으면 충분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진료 현장에서는 한 가지 약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는 바로 앞서 언급된 당뇨병의 복합적인 발병 원인을 하나의 약으로는 모두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들의 동반 질환 유병률은 매우 높다. 대한당뇨병학회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절반 이상은 비만, 60% 이상은 복부 비만이며 고혈압과 고지혈증, 지방간까지 동반하는 경우가 많게는 70~80%까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당뇨병 치료는 단순히 혈당 수치만 낮추는 것을 넘어 이러한 다양하고 복잡하게 얽힌 동반 질환을 함께 관리하는 다면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이것이 바로 환자가 여러 가지 약물을 복용하게 되는 주된 이유이며, 치료의 목표가 혈당 조절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있음을 의미한다.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과 의문을 해소하며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현대 의료진의 역할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당뇨병학회에서는 한 가지 약물부터 천천히 증량해 가는 단계적 접근에서 벗어나 초기부터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약물을 두 가지 이상 병용하는 방식을 적극 권고하고 있다. 이는 혈당 조절이 실패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환자의 상태에 맞는 약제 조합으로 더 빠르고 효과적인 조절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바뀐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SGLT-2 억제제와 TZD 계열 약제의 병용이다. 서로 다른 기전이 결합해 훌륭한 혈당 조절은 물론 체중·지방간·심혈관 보호까지 아우르는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최근에는 이 조합을 한 알에 담은 복합제가 등장해 환자들의 복용 편의성과 치료 효과를 동시에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됐다. 이는 환자들이 느끼는 복약 순응도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결국 최신 당뇨병 치료는 ‘약을 점차적으로 늘린다’라는 개념이 아니라, 환자 상태에 맞는 최적의 조합을 찾는 것이다. 한 가지 약으로는 부족할 수 있지만, 효과적인 복합제와 같은 새로운 전략을 통해 혈당 조절과 합병증 예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당뇨병 치료는 단순히 혈당 수치와의 싸움이 아니라 몸 전체 건강을 지키는 다면적 관리라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김상용 조선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이미지 확대
김상용 조선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상용 조선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2025-11-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