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정부간 위안부 합의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이병기 전 국가정보원장이 17일 구속된 것과 관련해 일본 정부가 “한일 합의를 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1944년 중국 윈난성 쑹산(松山) 산악지대에서 촬영된 한국인 위안부 포로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944년 중국 윈난성 쑹산(松山) 산악지대에서 촬영된 한국인 위안부 포로들. 연합뉴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17일 이 전 원장의 구속이 한·일 합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한·일 합의에 대해서는 한·일 양국이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확인해 국제사회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합의 내용을) 착실히 이행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 전 원장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3년 5월부터 2014년 7월 주일 대사를 지냈다. 그뒤 국정원장과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지내면서 한·일 위안부 합의를 물밑에서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주일 한국대사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 전 원장이 8차례에 걸쳐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외교 책사’인 야치 쇼타로 국가안보국장과 위안부 합의를 위한 협상을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중앙지검은 이날 국정원 특수활동비 수십억원을 박근혜 전 대통령 측에 뇌물로 상납한 혐의로 이 전 원장 등을 구속했다.
이미지 확대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2017.9.15 도쿄 교도=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 2017.9.15 도쿄 교도=연합뉴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