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전기차 야망

도요타 전기차 야망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21-12-15 22:32
수정 2021-12-16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42조원 투입해 年 350만대 팔겠다”

이미지 확대
전 세계 자동차 판매량 1위인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2030년까지 전기차 해외 판매량을 지금의 2배 수준인 350만대까지 늘리기로 했다. 도요타뿐만 아니라 혼다, 닛산 등 일본의 주요 자동차업체가 탈탄소 정책에 발맞춰 전기차 생산을 과감하게 늘릴 계획이지만 일본 내 전기차의 대중적 보급은 아직 멀었다는 전망이 나온다.

15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도요타 아키오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친환경 미래차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도요타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HV), 수소 연료전지차(FCV) 등에 2030년까지 8조엔(약 83조 4400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 가운데 절반인 4조엔(약 41조 7200억원)을 전기차에 집중한다. 그중 절반을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분야에 투자하기로 했다.

도요타는 2030년까지 전기차 차종을 30개로 다양화할 계획이다. 특히 도요타의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는 2035년까지 전제품을 모두 전기차로 생산하기로 했다. 도요타에 앞서 혼다와 닛산도 전기차 생산 확대 계획을 밝힌 바 있다. 혼다는 지난 4월 2040년부터 전기차와 FCV만 생산하겠다고 발표했다. 닛산도 지난달 전기차에 탑재하는 배터리 부문에 향후 5년간 2조엔을 투자하겠다는 전략을 내놨다. 일본차 업계가 전기차에 총력을 쏟는 데는 일본 정부의 압력이 컸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본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제로화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고, 이를 위해 2035년까지 가솔린차 생산을 종료하기로 했다.

일본 소비자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전기차의 제조 단가가 일반 가솔린차보다 높은 탓에 소비자들이 구입하기에는 비싼 편이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는 전기차 구입 시 최대 80만엔(약 834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전기 충전소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탓에 충전에 불안을 느끼는 소비자가 적지 않아 전기차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021-12-1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