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전 오페라 팬들은 한 테너의 출현에 ‘경악’했다. 불과 스물여덟의 나이에 ‘라 트라비아타’(알프레도 역)로 영국 코벤트가든, ‘리골레토’(만토바 공작 역)로 오스트리아 빈 국립오페라극장, ‘토스카’(카바라도시 역)로 미국 메트로폴리탄에서 잇따라 데뷔전을 치렀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호세 카레라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호세 카레라스
이듬해 이탈리아 라 스칼라극장에서 ‘가면무도회’의 리카르도 역까지 맡으면서 4대 오페라 극장 데뷔를 모두 끝냈다. 스페인 출신의 테너 호세 카레라스(65)를 두고 하는 얘기다.
1987년 그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판정을 받았다는 소식이 전해졌을 때 팬들이 얼마나 낙담했을지는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듯. 사람들은 위대한 예술가와의 작별을 예감했다. 당시 의학 수준으로는 생존율이 고작 10%도 미치지 못했기 때문.
하지만 항암치료와 골수이식 등 지난한 과정을 딛고 1년여 만에 기적적으로 완치됐다. 1989년 15만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열린 복귀무대에서 마지막 대목의 ‘빈체로’(나는 승리하리라~)를 열창했을 때, 객석은 눈물바다가 됐다. 이듬해 루치아노 파바로티(1935~2007), 플라시도 도밍고(70)와 함께 이탈리아 월드컵 전야제에서 펼친 ‘더 스리 테너스’ 공연 역시 클래식 공연사에 남을 한 장면으로 꼽힌다. 다른 두 테너가 한자리에 선 것도 그의 회복을 축하하기 위해서였다.
카레라스가 오는 23~24일 서울 방이동 올림픽공원 올림픽홀 무대에 선다. 2009년 이후 2년 만에 갖는 국내 팬들과의 만남이다. 데이비스 히메네스가 지휘하는 서울필하모닉과 소프라노 마리아 루이지아 보르시, 바이올리니스트 브래드 렙이 함께한다. 15만~25만원. 1544-1555.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1-11-14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