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일의 어린이 책] ‘문명’을 거부한 섬 소년

[이주일의 어린이 책] ‘문명’을 거부한 섬 소년

입력 2013-07-06 00:00
수정 2013-07-0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미 버튼] 앨릭스 바즐레이 지음/ 제니퍼 우만·발레리오 비달리 그림/ 김서정 옮김/다섯수레/1만 2000원

섬 소년은 밤이면 늘 높은 나무 위로 올라가 파도가 흥얼대는 소리를 들었다. 소년은 생각했다. ‘바다 건너편 세상에서 살면 어떨까.’ 어느 날 배를 타고 바다 건너 온 손님들이 소년에게 손짓했다. “우리와 함께 가서 발달된 문명 세계를 경험해 보렴.”

손님들은 소년의 가족들에게 진주 단추를 선물했다. 소년의 이름은 ‘제미 버튼’이 됐다. 어둡고 거친 바다를 오래도록 나아가 낯선 육지에 닿은 소년은 눈이 휘둥그레졌다. 돌로 지어진 집이 숲 속 나무보다 훨씬 높다니…. 갖가지 옷으로 치장한 사람들과 기기묘묘한 물건들은 또 얼마나 많은지….

반면 소년은 벌거벗은 자신의 작은 몸이 더 작게 느껴졌다. 곧 제미 버튼도 다른 사람들과 비슷해지긴 했지만 같을 수는 없었다. 호기심 가득한 사람들에 이끌려 왕과 왕비까지 만나지만 고향과 같을 수는 없었다.

먼 나라 사람들은 제미 버튼에게 ‘특명’을 내린다. “고향으로 돌아가 주민들에게 그동안 배운 문명을 가르치라”고. 2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간 제미 버튼은 어떤 활약(?)을 펼쳤을까.

1830년 영국의 로버트 피츠로이 선장은 비글호를 타고 남아메리카 끝자락 티에라델푸에고 섬(불의 땅)에 가닿는다. 선장은 야만인 같은 섬 주민들을 영국 신사로 만들려고 오룬델리코라는 소년을 영국에 데리고 갔다. ‘제미 버튼’은 이 세계사의 단면을 그림책에 담고 싶어 한 미국 화가 제니퍼 우만의 소박한 꿈에서 탄생했다. 원시의 풍요로움을 간직한 숲과 바다를 천편일률적인 도시의 모습과 대비하며 섬세한 필치로 그려낸 그림이 아름답다. 초등 중학년까지.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07-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