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G20회의-스케치] WSJ·FT등 G20 특집판 회의 성공전망은 엇갈려

[서울 G20회의-스케치] WSJ·FT등 G20 특집판 회의 성공전망은 엇갈려

입력 2010-11-12 00:00
수정 2010-11-12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계 주요언론 반응

서울 G20 정상회의가 개막한 11일 세계 언론들은 일제히 이를 간판 뉴스로 보도하며 큰 관심을 나타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영국 경제전문지인 파이낸셜타임스(FT), BBC방송과 CNN 등도 G20 특집 코너를 편성해 정상회의 의제와 전망 등을 경쟁적으로 보도했다. AP 등 주요 통신사들도 서울발 실시간 뉴스를 긴급 타전하는 등 속보전을 벌였다.

●정상회의 의제 등 실시간 보도

FT는 이날 ‘G20과 한국’이라는 제목으로 12면 분량의 특집섹션을 제작했다. 한국의 전통무예를 선보이는 공연단의 사진을 첫머리에 실은 것을 비롯해 G20 정상회의를 유치한 한국의 들뜬 분위기와 북한소식 등도 전했다.

1면에도 제호 아랫부분에 ‘G20 정상회의’라는 별도의 엠블럼을 게재하는 등 정상회의를 상세히 소개했다. WSJ도 G20 관련 기사를 집중적으로 보도하는 한편 ‘G20 특집코너’를 마련해 회의 관련 기사는 물론 김치 등 한국 음식을 소개하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오피니언면에 ‘서울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는 173개국’이라는 제목의 이명박 대통령의 기고문을 실었다. 이 기고문은 세계인구의 3분의1을 차지하는 173개 유엔회원국이 이번 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G20 정상회의가 빈곤국가들의 성장을 위한 도전을 망각하면 안 된다.”는 내용을 담았다.

외신들은 이번 정상회의의 최대 쟁점인 환율전쟁과 무역불균형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엇갈린 전망을 내놨다. 뉴욕타임스(NYT)는 인터넷 홈페이지 첫머리 기사를 통해 티머시 가이트너 미 재무장관 등의 발언을 인용, 이번 회의에서 무역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한 합의점을 도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반면 WP는 ‘서울 논쟁의 중심에는 G2’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번 회의에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 미국과 중국 사이에 치열한 논쟁이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CNN도 정상들이 글로벌 경제회복 방안을 놓고 큰 견해 차를 보일 것이라는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독일의 일간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은 “정상들이 세계 무역 불균형 문제에 대한 가이드라인에 합의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는 독일 정부의 입장을 전했다.

●“무역불균형 해소”vs“합의 못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G20체제가 세계금융위기를 회복으로 이끌고 장기적인 조정협력기구로 거듭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중국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거시적인 경제정책 협력 ▲국제금융체제 개혁 ▲남북발전 불균형 해소 ▲보호무역주의 반대 등 4가지 목표를 실현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소개했다.

일본의 아사히신문은 “세계경제의 불안 요인인 경상수지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합의에 이를 수 있을지가 이번 회의의 초점”이라면서 “미국의 추가 금융 완화책이 도마에 올라 회의 성과가 우려된다.”고 보도했다.

워싱턴 김균미·도쿄 이종락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jrlee@seoul.co.kr
2010-11-12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