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전 서울 남산 옛 통감관저터에 열린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제막식에 참석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와 참석자들이 조형물 ’세상의 배꼽’ 앞에서 기념촬영을 갖고 있다. ’기억의 터’에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 247명의 성함과 증언을 시기별로 새긴 ’대지의 눈’과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는 글귀가 4개국어로 새겨진 ’세상의 배꼽’이 설치됐다. 2016. 08. 29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29일 오전 서울 남산 옛 통감관저터에 열린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제막식에 참석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와 참석자들이 조형물 ’세상의 배꼽’ 앞에서 기념촬영을 갖고 있다. ’기억의 터’에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 247명의 성함과 증언을 시기별로 새긴 ’대지의 눈’과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는 글귀가 4개국어로 새겨진 ’세상의 배꼽’이 설치됐다. 2016. 08. 29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29일 오전 서울 남산 옛 통감관저터에 열린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제막식에 참석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와 참석자들이 조형물 ’세상의 배꼽’ 앞에서 기념촬영을 갖고 있다. ’기억의 터’에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 247명의 성함과 증언을 시기별로 새긴 ’대지의 눈’과 ”기억하지 않는 역사는 되풀이 된다”는 글귀가 4개국어로 새겨진 ’세상의 배꼽’이 설치됐다. 2016. 08. 29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