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컷뉴스는 29일 경희대 강사 A씨는 지난 4월 13일 학생들에게 ‘세월호 사건 때 학생은 물이 차오르는 배에서 왜 탈출하려 하지 않았는가’ 등의 과제를 내주며 “나는 세월호 학생들이 탈출해야 하는 순간에 다들 탈출할 생각은 안 하고 전부 카카오톡에 빠져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A씨는 “학생들이 휴대폰으로 카카오톡을 하느라 그 공간에서 일어났어야 할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지 않았다. 아무도 탈출 시도 의견을 제시하지 않았고 그에 대한 동조현상이 일어났다”고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평소에는 말을 안 듣는 고등학생들이 왜 그때는 그렇게 말을 잘 들었냐”며 책임을 피해자들에게 떠넘기는 발언도 했다고 학생들은 주장했다.
이어 과제 평가 방법을 설명하면서 “내 머릿 속에 이미 정답이 있다”고 말해 사실상 자신의 의견에 동조할 것을 강요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해당 발언이 논란이 되자 “대구 지하철 참사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보여주며 동조 효과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한 말이지 그런 취지가 아니었다”면서 “학생들의 생각이 다양하기 때문에 과제 평가 기준 역시 내용이 아닌 글씨체 정도였다. 학생들이 여러 발언들 가운데 일부만 발췌해서 그렇게 말을 하는 것이 실망스럽다”고 해명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