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 해당 학교 1470명 설문
지방의 소규모 학교 통폐합에 대해 해당 학교에 몸담고 있는 교원들은 10명 가운데 8명꼴로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부가 2012년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시행한 뒤 처음 실시한 조사에서 대다수 교원의 반대가 확인됐다.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전국 8학급 이하 3542개교의 교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설문에 응한 교원 1470명 가운데 81.8%가 소규모 학교들 간 통폐합에 반대했다. 반대 이유로는 ‘경제적 논리에 따른 일방적 통폐합’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70.5%에 이르렀다. ‘교원 수 부족으로 말미암은 교육의 질 저하’(13.2%)와 ‘교원에 대한 복지 제도 부족’(11.8%)이 뒤를 이었다.
또 학생들이 겪게 될 가장 큰 문제로 교원들은 ‘문화적 결핍 현상 심화’(33.7%)를 가장 많이 꼽았다. 다음으로 ‘통학’(23.1%), ‘사회성 발달 저하’(22.0%), ‘학력 저하’(18.1%) 순이었다.
이와 함께 교육부가 지난해부터 실시하는 ‘농어촌 교육여건 개선추진’ 정책과 관련, 교원 72.8%는 ‘지원학교를 늘리면 학교 간 통폐합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반면 ‘소규모 학교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 답변은 27.1%에 그쳤다.
김동석 교총 대변인은 “지방의 소규모 학교들은 지역 균형발전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어 통폐합이 아닌 ‘학교 살리기’에 초점을 둬야 한다”며 “낙후지역 교직원 공동주택 건립, 소규모 교직원 우대 등의 정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4-10-07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