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를 섭취하면 인체의 전반적인 면역 기능이 향상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2일 중앙대약대 김홍진 교수에 따르면 연구팀은 생후 5주된 실험 쥐 16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2주간 하루 50mg/kg의 소 초유를, 다른 그룹은 생리식염수만을 먹인 후 대장균의 내독소를 이용하여 면역기능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소 초유를 섭취한 실험 쥐의 면역세포인 자연살해세포, 단핵구, 림프구 등은 생리식염수를 섭취한 실험쥐(대조군)의 면역세포들에 비해 대장균 내독소에 별로 자극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유가 염증반응이 약하게 나타나도록 면역계의 변화를 유도한 것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홍진 교수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병원체를 방어하고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일단 몸에 들어온 병원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발열이나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는 소의 초유를 섭취하는 것이 면역 조절능력을 향상시켜 염증반응을 최소화하면서도 면역계가 병원체를 제거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장균 내독소는 대장균이 인체에 침입할 경우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주된 인자이다. 이렇게 발생한 염증은 심한 열을 동반하며, 심하면 쇼크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런 내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대표적인 질환이 패혈증이다.
지금까지 국내외 연구에서 밝혀진 초유의 효능은 헬리코박터, 이질 및 로타바이러스 등 소화관을 통해 감염되는 병원균을 방어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었다. 즉, 초유는 다양한 면역물질 및 항체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섭취할 경우 이런 성분들이 소화관에 존재하는 병원체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김 교수는 이런 기존 연구와 달리 초유가 전신 면역 개선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 지난해 초유가 독감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데 이어 이번에는 진전된 연구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김교수는 “소의 초유에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는 여러가지 이로운 물질들이 들어있어 면역 조절능력 향상에 작용할 것”이라며 “이러한 초유의 효능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초유가 독감 예방 및 증상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던 김홍진 교수의 이 연구결과는 대한약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최근호에 실렸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2일 중앙대약대 김홍진 교수에 따르면 연구팀은 생후 5주된 실험 쥐 16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에는 2주간 하루 50mg/kg의 소 초유를, 다른 그룹은 생리식염수만을 먹인 후 대장균의 내독소를 이용하여 면역기능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소 초유를 섭취한 실험 쥐의 면역세포인 자연살해세포, 단핵구, 림프구 등은 생리식염수를 섭취한 실험쥐(대조군)의 면역세포들에 비해 대장균 내독소에 별로 자극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유가 염증반응이 약하게 나타나도록 면역계의 변화를 유도한 것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홍진 교수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병원체를 방어하고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일단 몸에 들어온 병원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발열이나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는 소의 초유를 섭취하는 것이 면역 조절능력을 향상시켜 염증반응을 최소화하면서도 면역계가 병원체를 제거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장균 내독소는 대장균이 인체에 침입할 경우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주된 인자이다. 이렇게 발생한 염증은 심한 열을 동반하며, 심하면 쇼크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런 내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대표적인 질환이 패혈증이다.
지금까지 국내외 연구에서 밝혀진 초유의 효능은 헬리코박터, 이질 및 로타바이러스 등 소화관을 통해 감염되는 병원균을 방어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었다. 즉, 초유는 다양한 면역물질 및 항체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섭취할 경우 이런 성분들이 소화관에 존재하는 병원체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김 교수는 이런 기존 연구와 달리 초유가 전신 면역 개선에도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 지난해 초유가 독감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데 이어 이번에는 진전된 연구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김교수는 “소의 초유에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는 여러가지 이로운 물질들이 들어있어 면역 조절능력 향상에 작용할 것”이라며 “이러한 초유의 효능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초유가 독감 예방 및 증상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던 김홍진 교수의 이 연구결과는 대한약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최근호에 실렸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