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전체 출고량 감소…막걸리 소비만 급증

술 전체 출고량 감소…막걸리 소비만 급증

입력 2010-06-29 00:00
수정 2010-06-29 14: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와 올해 1.4분기까지 술 전체 출고량은 약간 감소한 반면에 막걸리 소비는 급증한 것으로 29일 나타났다.

 국세청에 따르면 2009년 전체 술 출고량은 333만3천㎘로 2008년의 339만7천㎘보다 1.9%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술 출고량의 90%를 차지하는 소주와 맥주가 2008년도 100만4천㎘,205만8천㎘에서 2009년엔 93만㎘,200만2천㎘로 각각 7.4%(7만4천㎘),2.7%(5만6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작년 한해동안 19세 이상 성인 1인이 연간 소주 68.26병(360㎖ 기준),맥주는 105.83병(500㎖ 기준)을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4분기에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맥주는 10% 감소하고,소주는 5.6% 증가했다.

 반면에 2009년 막걸리 출고량은 26만1천㎘로 2008년 17만6천㎘보다 무려 47.8%나 증가했다.이는 19세 이상 성인 1인당 연간 9.19병(750㎖ 기준)을 소비한 것으로 전국에 불어닥친 ‘막걸리 열풍’을 입증했다.

 이에따라 지난해 막걸리가 전체 주류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7.8%(소주 27.9%,맥주 60.1%)로 올라섰다.

 또 올해 1.4분기에만 막걸리 9만㎘가 소비돼 작년 같은 기간의 4만4천㎘보다 2배 이상으로 늘었다.

 막걸리는 해외에서도 선풍적인 인기를 누렸다.

 작년 막걸리 수출은 7천404㎘로 2008년(5천457㎘)보다 35.7% 증가했으며 소주(8만1천㎘),맥주(7만3천㎘)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막걸리는 83.2%가 일본으로 수출됐고,미국(8.8%),중국(3.7%),베트남(1.4%),호주(0.8%) 등의 순으로 많이 팔려나갔다.

 위스키와 포도주 등 과실주는 작년에 국내 소비가 대폭 감소했다.

 위스키는 2만5천767㎘로 2008년에 비해 17%가 줄어들어 최근 5년간 최저소비량을 보였으며 과실주도 4만5천972㎘로 2008년에 비해 17.9%가 줄었다고 국세청은 밝혔다.

 청주의 경우 일본 사케의 영향으로 2008년보다 7.9% 소비가 증가했으나 국내 청주의 출고량이 3.7% 증가한 데 비해 수입량은 전년보다 44.0%나 늘었다.

 약주는 막걸리와 사케 등의 소비 확산에 밀려 작년에 2만2천㎘소비에 그쳐 2004년도 이후 6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국세청은 전체 술 출고량이 줄어드는 가운데 막걸리 소비가 급증한 데 대해 “웰빙 트렌드 확산과 함께 신종플루로 인해 각종 행사와 모임 등이 크게 줄면서 술 소비가 위축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편,세율이 낮은 막걸리(5%)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에 고세율(72%)인 맥주 소비가 지속적으로 이어질 경우 주세 세수 감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세청은 “올해 1.4분기 막거리 출고량은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2배로 증가한 반면에 맥주는 10% 감소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5월말 현재 주세 수입은 작년보다 약 980억원(잠정치)이 감소됐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